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국방과 무기

[르포]버스테러 진압? 10초면 충분했다...육군 707특수임무단 가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본보 기자가 20일 경기 이천시 육군 특전사 707특수임무단에 마련된 고공센터에서 '윈드 터널' 훈련을 체험하고 있다. 육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들어가선 고개를 들고, 다리를 위쪽을 향해 구부리세요. 허리를 앞쪽으로 내밀어야 안정적입니다.”

지름 약 5m, 높이 9m가량의 원통형 터널인 ‘모의고공 훈련시설(윈드 터널·Wind tunnel)’에 진입했다. 몸을 띄우자 곧바로 강한 바람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왔다. 번지점프라도 한 듯, 높은 곳에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기분, 머릿속은 금세 하얘졌다.

윈드 터널 안팎의 수신호에 따라 다리를 구부리자, 그제야 몸과 마음이 안정을 찾았다. 하지만 풍속이 높아질 때마다 몸이 터널 상부로 붕붕 떠오르면서 제어가 쉽지 않았다. 바람은 실제 최대 시속 280㎞까지 속도를 높이는 게 가능했다. 강하 전 요령과 자세를 숙달하기 위한 훈련 시설. 터널 안에서는 적어도 '모의' 또는 '훈련'이라는 말이 통하지 않았다. 상당한 체력과 담력을 요한 체험 훈련이었다.

첨단 훈련으로 다진 고공강하 ‘세계 정상급’

한국일보

육군 특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이 지난 20일 경기 광주시 47국가대테러 훈련장에서 열린 특수작전 및 대테러 훈련 공개행사에서 특수작전 및 대테러 훈련을 하고 있다. 육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일 찾은 경기 이천시 육군 특전사 707특수임무단 내 ‘고공센터’에서는 최상의 전력을 유지하려는 특전사 요원들을 돕기 위한 시설로 가득찼다. 707특임단은 국가 지정 대테러부대로, 각종 작전 대비 훈련을 위한 첨단화 경쟁이 진행 중이었다. 2016년 마련된 이곳에선 윈드 터널 외에 조종술 가상현실(VR)도 도입, 기상이 안 좋아 취소한 고공강하 훈련이나 각종 모의훈련이 가능했다. 특전사 관계자는 “우리 특전사들은 세계적인 고공강하 대회 때마다 대부분 상위권에 입상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날의 정예특전요원들 '퍼포먼스'는 놀라웠다. 인근 경기 광주시 ‘47국가대테러 훈련장’에서 가져온 훈련 성과를 뽐내듯, 낙하 실력을 유감없이 선보였다. 30㎏의 군장과 산소탱크 등 20㎏ 장치를 멘 6명의 요원들은 1,500m 상공의 블랙호크 헬기에서 주저없이 뛰어내렸다. MC-4 전술낙하산을 요리조리 움직이더니, 목표지점에 한 치 오차 없이 속속 도착했다. 특전사 관계자는 “야간에도 최대 시속 60㎞ 달하는 활공속도(내려가며 내는 속도)로 상대 식별을 피할 수 있다”며 “특전사 요원들은 평균 1,000차례, 최대 4,108차례(천마부대 김임수 원사)의 고공강하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달리던 버스 안의 적 소탕하는데 10초면 충분


한국일보

육군 특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이 지난 20일 경기 광주시 47국가대테러 훈련장에서 열린 특수작전 및 대테러 훈련 공개행사에서 특수작전 및 대테러 훈련을 하고 있다. 육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상에서는 ‘빠르고 정확한’ 임무 완수 능력이 펼쳐졌다. 이날 길리슈트(위장복)와 일상복, 군복 등을 나눠 입은 저격중대 요원 7명은 사격 명령이 떨어지자 200~600m에 떨어진 목표물을 오차 없이 명중했다. 파괴력이 강한 12.7㎜ 대물저격소총을 이용, 600m 거리의 표적을 명중하는 장면은 전율을 자아내기 충분했다. 특전사 관계자는 “높은 사양의 대물저격소총으로는 철문을 굴절시킬 수 있다”며 “전차 일부 기능도 마비시킬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버스, 비행기에 대한 테러리스트들의 납치를 가정한 훈련에선 수십 초 만에 적들을 소탕하는 장면을 보여줬다. 버스 진압작전에선 요원들이 빠르게 달려오던 버스 내 적을 제압하는 데는 10여 초면 충분했다. 무장차량이 버스 앞을 가로막아 멈춰 세운 뒤, 작전차량이 버스 뒤편을 막아 세웠다. 이후 작전차량에 있던 우리 요원들이 빠르게 버스로 이동, 일부는 경사로(발판)를 만들고, 일부는 눈 깜짝할 사이 버스로 진입했다.

보잉-747 항공기 내 인질 두 명을 구출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필요치 않았다. 3개조가 날개 상단부, 꼬리문, 지상을 나눠 점령한 뒤 ‘공격 개시’ 신호 직후 일사불란하게 움직여 순식간에 테러범을 제압할 수 있었다.

"특전요원, 첨단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을"

한국일보

우리 군이 올해 도입한 캐나다 MED-ENG사의 방폭복. MED-ENG사 홈페이지


이날 폭발물처리반(EOD) 중대는 소포, 상자, 압력밥솥, 포장된 위스키 병에 설치된 폭발물을 소개했다. 얼핏 보기엔 여느 물품들과 달라보이는 게 하나도 없었다. 첨단 수색 진압 장비가 숨겨진 위험을 밝혀낼 수 있었다.

특히 이날 현장에서는 올해 처음 도입된 한 벌 9,000만 원짜리 방폭복(EOD 슈트)이 공개됐다. 캐나다 MED-ENG사 제품으로, 옷 한 벌 무게만 해도 35㎏이다. 고도의 유연성과 화생방, 방염, 통신, 냉각 기능까지 다 갖춘 장비로, 다리와 가슴 부분에 방탄 소재가 적용됐다. 707 특임단 관계자는 "수류탄이 터져도 생존 가능한 장비"라며 "현재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등 60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장 도입에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에는 아직 한 벌만 도입이 됐고, 그 한 번조차 전시 목적에 충실하면서 당장 사용할 수 있는 게 아니었다.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중장)은 “가장 우수한 인원을 뽑아 가장 좋은 장비를 줘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대테러 첨단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만큼 특전요원들이 첨단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정부와 군 당국이 적극 지원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김형준 기자 mediaboy@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