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신한 이어 KB 대출금리도 2%대…이달 가계대출 4.4조원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주요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 하단이 2%대까지 내려앉았다. 자칫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도 전에 차입 투자 열풍이 다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아시아경제

서울 시내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 [이미지출처=아시아경제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2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2.940∼5.445% 수준이다. 지난 5월3일(연 3.480∼5.868%)에 비해 상단이 0.423%포인트(p), 하단이 0.540% 낮아졌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만기 1년)도 연 4.330∼6.330%에서 4.160∼6.160%로 상·하단이 0.170p씩 하락했다. 지표 금리인 은행채 1년물의 낙폭(-0.172%p)과 거의 같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는 약 3년 만에 2%대로 떨어졌다. 앞서 19일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 상품(신한주택대출)의 5년 고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아파트·주택구입) 하단이 2.98%를 기록했고, 20일 2.95%를 거쳐 21일 2.94%까지 떨어졌다.

이번 주 KB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5년 고정금리+변동금리) 금리와 주기형 고정금리도 2%대(2.99%)에 진입한다. 2%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는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내부 시계열 통계에서 각 2021년 8월 말(2.92%) 이후 약 2년 10개월만, 2021년 3월 4일(2.96%) 이후 약 3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연 3.740∼6.732%) 역시 상단과 하단이 한 달 보름 전보다 각 0.110%p, 0.106%p 떨어졌다. 구조적으로 시장금리 하락이 예금 금리 등을 거쳐 변동금리 지표인 코픽스에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

작년 말에 비교해 대출 금리 하락 폭이 커지면서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부담도 줄어들자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나는 모양새다.

지난 20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07조6362억원으로, 5월 말(703조2308억원)보다 4조4054억원 더 늘면서 4월 이후 3개월째 증가세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20일까지 각 3조6802억원, 7330억원 불었다.

금융 당국은 최근 가계부채 점검 회의 등에서 주요 은행에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이내 가계대출 증가 관리'를 당부했는데, 지금까지 5대 은행의 증가율은 2.2% 수준이다. 이미 한국은행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2.5%)에 거의 근접한 상태다.

따라서 이들 은행은 조만간 하반기부터 가산금리 인상이나 대출 한도 축소 등을 통해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은행은 최근 '향후 통화정책 운용의 주요 리스크' 보고서에서 "정책금융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 등으로 금융권 가계대출이 지난 4월 증가세로 돌아섰는데, 앞으로 피벗(통화정책 전환)이 주택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하면서 가계부채 증가를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