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비문 바꿔라" 日 항의했지만…이탈리아 사르데냐섬 소녀상 제막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탈리아 사르데냐섬에 ‘평화의 소녀상’ 설치

스탄티노 시장 “보편적 여성 인권에 관한 것”

이탈리아 사르데냐섬에 ‘평화의 소녀상’이 22일(현지시간) 설치됐다. 유럽에서는 독일 베를린 이후 공공부지에 두 번째로 설치되는 것이다. 2013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 시립공원 공립 도서관 앞에 해외에서 처음으로 소녀상이 세워진 이후로는 14번째다.

이날 사르데냐섬 스틴티노 해안가에서 열린 제막식 행사에는 리타 발레벨라 스틴티노 시장을 비롯한 지역 정치인들과 여성단체, 시민단체 대표들이 대거 참석했다.

스틴티노시의 소녀상은 시청과 불과 200m 떨어진 거리의 바닷가 공공부지에 세워졌다. 시는 많은 사람에게 소녀상을 알릴 수 있도록 관광객의 발길이 잦은 곳에 건립했다고 설명했다.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적 사실을 기억하고 전시 성폭력이 중단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조형물이다.

소녀상 옆에는 ‘기억의 증언’이라는 제목 아래 긴 비문이 별도의 안내판으로 설치돼 있다. 비문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수많은 소녀와 여성을 강제로 데려가 군대의 성노예로 삼았다는 등의 내용이 적혔다. 또한 일본 정부가 위안부의 존재를 부정하며 소녀상을 철거하려고 하는 움직임에 대한 강한 유감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아시아경제

이탈리아 사르데냐섬 스틴티노 해안가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이미지 출처=정의기억연대 제공]


비문은 한국어 외에도 이탈리아어와 영어로 적힌 별도의 안내판으로 설치되며, QR코드를 통해 더 많은 언어로도 읽을 수 있다.

소녀상 설치를 주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은 앞서 지난해 12월 스틴티노시에 소녀상 건립을 제안했다. 발레벨라 시장은 이에 “우리 영토에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지는 것을 환영한다”면서 “인류와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을 낙인찍겠다는 확고한 의지”라고 답했다.

그러나 소녀상 건립은 일본 측의 반대로 순탄치 않은 과정을 거쳤다.

현지 지역지 루니오네 사르다는 스즈키 사토시 주이탈리아 일본 대사가 제막식을 이틀 앞둔 지난 20일 스틴티노시를 방문해 발레벨라 시장에게 제막식 연기를 요청했다면서 제막식이 한국과 일본 두 국가 사이에 논란을 촉발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스즈키 대사는 일본이 과거 범죄에 대해 사과했고 피해배상금 지급 절차를 밟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소녀상 비문 문구가 사실과 다르다고 시 측에 항의했다는 것이다.

발레벨라 시장은 스즈키 대사의 제막식 연기 요청을 거부했지만, 비문 문구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발레벨라 시장이 소녀상 비문 문구의 편향성을 인정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발레벨라 시장이 “소녀상 설치를 주도한 한국 시민단체의 일방적 주장이 비문에 적혀 있다”면서 한일 양국의 입장을 병기하는 내용으로 교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녀상 설치를 주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나영 이사장은 “발레벨라 시장을 만나 확인한 결과 본인은 비문 변경을 언급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비문을 고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제막식에서도 발레벨라 시장은 제막식 축사에서 소녀상이 일본에 대한 것이 아니라 보편적 여성 인권에 관한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발레벨라 시장이 일본과 갈등을 피하기 위해 일본 측에는 비문 문구 변경 가능성을 언급했을 수 있다”며 “소녀상을 지키려면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이탈리아 한국 대사관 측은 아직 스틴티노시로부터 관련 내용에 대한 연락을 받지 못했다면서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