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중국 C-커머스 공습에 '역직구' 적자 5년새 2배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달 16일 오전 인천 중구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관계자가 화물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발 이커머스(C-커머스) 업계의 국내 시장 공략이 거세지는 가운데 한국의 온라인 해외직접판매액(역직구)은 나날이 쪼그라들면서 무역적자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커머스의 초저가 공세에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된데다 역직구 시장의 ‘큰 손’이었던 중국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20일 통계청의 온라인쇼핑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온라인쇼핑 시장(면세점 제외)의 무역적자 규모는 5조9290억원으로 2019년 2조8513억원과 비교해 약 2배로 늘었다. 무역적자는 역직구 판매액(면세점 제외)에서 해외직접구매액(직구)을 뺀 값이다.

중앙일보

김영희 디자이너


적자 폭이 커진 건 해외 쇼핑몰에서 한국인의 온라인 물건 구매는 늘어난 반면 국내 제품의 해외 판매는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실제 알리·테무 등 C-커머스의 저가공세로 한국의 온라인 직구 규모는 2019년 3조6360억원에서 지난해 6조6819억원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국내 제품의 해외 온라인 판매액은 7848억원에서 7529억원으로 감소했다.

품목별 해외직접판매액을 보면 비중이 가장 높은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이 2019년 3029억원에서 지난해 2088억원으로 줄었다. 생활·자동차용품은 483억→203억원으로, 가전·전자·통신기기는 310억→210억원으로 감소했다. 하명진 한국온라인쇼핑협회 정책지원실장은 “다른 나라에서도 테무·쉬인 등 중국 C-커머스를 통해 저가 제품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고가인 한국 의류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중국 로컬 브랜드 성장…한국 화장품 선호도↓



지역별로는 중국의 한국 제품 소비 감소가 두드러졌다. 중국으로의 역직구 판매액은 2019년 2104억원에서 지난해 1546억원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일본은 1893억→2275억원으로 미국은 1866억→2400억원으로 커졌다.

특히 중국의 경우 그간 가장 판매 규모가 컸던 한국산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판매액이 2019년 778억원에서 330억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2019년 기준 판매액 2위인 화장품도 594억원에서 231억원으로 줄었다. 한국 제품 구매 선호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내 한 온라인 플랫폼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전후로 중국 내에서 뷰티 생태계가 바뀌었다. 한국 화장품이 최고라며 맹목적으로 구매하던 시기는 이미 지났다”며 “중국 내 로컬 화장품 기업이 대거 생기면서 현지 브랜드들이 퀄리티 높은 상품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시장조사기관 아이아이미디어리서치에 따르면 2016년 94만개였던 중국 내 신규 화장품 기업 수는 2022년 367만개로 대폭 늘었다.

여기에 중국의 젊은 MZ 세대를 중심으로 자국산 브랜드를 사용하는 애국소비(궈차오) 열풍이 불고 있는 점과 중국의 경기 둔화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점도 역직구 판매액이 감소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미국으로 눈 돌리는 국내 기업들



중앙일보

김영옥 기자


업계에선 중국을 대체할 시장으로 ‘미국’과 ‘일본’을 주목하고 있다. 역직구 판매액의 국가별 비중을 보면 2020년 29%였던 중국 비중은 지난해 21%로 감소했다. 대신 미국이 32%로 1위, 일본이 30%로 2위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음반·비디오·악기 분야의 증가세가 눈에 띈다. 2019년 894억원 수준이었던 음반 분야 판매액은 2023년 1817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K팝 음반시장의 가파른 성장세 영향으로 풀이된다. 화장품의 경우 중국에선 수요가 줄었지만, 전체 역직구 판매액 기준으로는 1598억원에서 1679억원으로 소폭 늘었다. 장준기 대한화장품협회 전무는 “현재 미국 MZ를 중심으로 한국의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 한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보따리상들이 싹쓸이 구매를 해 규모가 컸는데 미국은 규모 면에서 많이 달린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역직구 활성화를 위해 수출 절차를 간소화하는 지원책을 내놨다. 통관 부담을 줄여 전자상거래 수출을 지원하겠다는 취지다. 하명진 정책지원실장은 “글로벌 유통 플랫폼을 적절히 활용하면 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하 실장은 “글로벌 플랫폼 업체들이 한국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해당 플랫폼을 이용해 해외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래에 독과점 된 시장에서 토사구팽당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 플랫폼 업체 성장에 정부가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