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강남구 역삼동 아파트 10층서 화재…주민 긴급 대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1개월兒·에어컨기사, 연기 흡입해 병원 이송

주민 40명 긴급 대피…옥상에서 구조 대기도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16층짜리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해 주민 약 40명이 대피하고 11개월 아기 등 2명은 병원으로 이송됐다.

20일 연합뉴스는 이날 오후 1시22분께 16층짜리 아파트 10층에서 화재가 발생해 당시 집안에서 작업 중이던 50대 에어컨 기사가 양손 화상과 연기 흡입으로 병원에 이송됐다고 보도했다.

불이 난 세대 아래층에 있던 11개월 남아도 연기를 들이마셔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다른 주민 7명도 단순 연기 흡입으로 현장에서 처치를 받았다.
아시아경제

2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한 아파트 10층에서 화재가 발생해 하교하던 학생들이 화재현장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고받고 출동한 소방 당국은 인원 286명과 장비 45대를 동원해 오후 3시22분께 초진을 완료하고 오후 4시 현재 잔불을 정리 중이다. 불이 난 아파트 해당 동에는 48세대, 178명이 거주하고 있다. 화재가 발생하자 아파트 주민 22명은 자력으로 대피했으며, 14명은 소방대원의 유도를 따라 옥상으로, 3명은 지상으로 몸을 피했다.

급하게 집을 빠져나온 주민들은 화재 진압 작업을 지켜보며 "이게 무슨 일이냐"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불이 난 세대 아래층에 거주한다는 한 주민은 연합뉴스에 "매캐한 냄새가 나길래 집에서 나왔는데 나와 보니 잔해물들이 떨어지고 심각한 상황이었다"며 "집에도 못 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강남구청은 이재민을 인근 숙박업소로 안내할 예정이다. 현재 역삼2주민센터에 이재민 대피소가 마련됐다. 또 인근 초등학교에서는 불이 난 아파트 인근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강당에 보호 조치한 후 보호자에게 인계하기도 했다. 진화 작업과 현장 수습을 위해 역삼로(개나리아파트 사거리~도성초교 교차로 구간) 6개 차로가 전면 통제됐다. 소방 당국은 잔불을 완전히 진화한 후 정확한 화재 원인과 재산 피해 규모 파악에 나설 예정이다.
아시아경제

2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한 아파트에서 불이 나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지난 19일에도 서울 양천구 목동의 23층 고층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주민 110여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있었다. 화재로 인한 심각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화재 진압에 11시간 넘게 걸리면서 소방 헬기가 출동해 옥상에 고립돼 있던 주민 일부를 구조했으며 진압 중 추가 폭발 사고가 나 소방대원 17명이 다치기도 했다.

이 화재는 이날 오전 8시2분께 해당 아파트 지하 2층 재활용품 수거함에서 시작됐다. 불길은 곧 지하 2층 주차장과 지하 1층 상가까지 번졌고 아파트 주민 등 113명이 대피했다. 대피 과정에서 주민 42명이 연기를 마셨지만, 병원으로 이송되지는 않았다.

소방 당국은 화재 발생 2시간 35분 만인 같은 날 오전 10시 37분께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소방 인력 349명, 장비 93대 등 관할 소방서 인력과 장비를 모두 투입했다. 그러나 불길이 시작한 곳에 설치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데다 열기와 연기로 인해 화재 현장까지 접근이 쉽지 않아 진압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또 화재 진압이 한창이던 오후 3시께에는 지상 1층 상가에서 폭발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폭발 때문에 진화와 구조 작업을 벌이던 소방대원 등 17명이 경상을 입었고, 이 중 11명이 병원으로 옮겨졌다.

화재 진압이 지체되면서 옥상에 대피해 있던 일부 주민을 구조하기 위해 오후 6시께 소방 헬기까지 투입됐다. 불길은 화재 발생 11시간 42분 만인 오후 7시 44분에야 잡혔다. 소방 관계자는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라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원인도 조사해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