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김경일 파주시장 “대북전단 중단해야”…경기도 접경지역 순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파주시의회 의원들이 20일 파주시민의 삶을 위협하는 대북전단, 오물풍선 살포를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했다. 사진 파주시의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접경지역 지방자치단체에서 탈북민 단체 등의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는 대북전단 살포를 저지하기 위한 현장 순찰까지 시작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20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에 맞선 국내 민간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로 인해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접경지역 주민들의 생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전단살포 중지를 요청했다.



“작은 충돌이 큰 전쟁으로 확전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



북한을 향해선 “지금은 작은 충돌이 큰 전쟁으로 확전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라며 “전쟁은 누구에게도 이득이 되지 않는 ‘치킨게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 평화와 협력의 길로 돌아가자”고 호소했다. 이와 더불어 파주시는 시민의 안전을 위해 경찰과 군, 경기도 특별사법경과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파주시 권한으로 ‘위험구역’ 설정도 검토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시장은 정부와 국회에 대해선 민간단체의 무분별한 대북전단 살포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했다.

파주시의회도 이날 성명서를 채택하고 “파주시민의 삶을 위협하는 대북전단, 오물풍선 살포를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서에서 “52만 파주시민들이 불안감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대북전단 살포와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까지 남북 간의 대치와 긴장은 파주시민들에게 생존의 위협마저 느끼게 하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지난 15일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일대 대북전단 살포 우려 지점에서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왼쪽 두번째)가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의 현장 대응 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 경기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접경지역 순찰 활동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11일부터 도민 안전 조치의 일환으로 순찰 활동에 돌입했다. 고양과 파주, 김포, 포천, 연천 등 접경지역 5개 시군 대북전단 살포 예정지에서 전단 살포를 막겠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긴급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도민, 국민 보호를 위한 공조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사태악화 시 관련 법령에 따른 위험 구역설정, 전단살포 행위 단속 등 도민 안전을 위한 조처를 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지난 9일 오전 서울 한강 잠실대교 인근에서 발견된 대남 풍선.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전날부터 대남 오물풍선 330여 개를 살포했고 오전까지 우리 지역에 80여 개가 낙하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동연 “특사경 투입은 국민안전·평화 지키려는 것”



김동연 경기지사는 지난 13일 도의회에서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특별사법경찰 투입 방안과 관련해 “단순하게 전단을 막는 것이 아니라 우리 도민과 국민의 안전과 평화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후 15일 살포 예상 지역인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일대 순찰에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와 우종민 연천 부군수 등이 직접 참여했다. 오후석 행정2부지사는 “계속되는 갈등 국면으로 가장 힘든 분들은 접경지역 도민들”이라며 “접경지역 도민들의 안전 확보를 최우선으로 경기도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조처를 하겠다”고 말했다.

전익진·최모란 기자 ijje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