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전공의 대표 “공동위원장 제안, 들은 바 없다…협의체 구성에 참여 안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범대위 공동위원장 하자” 최안나 의협 대변인 제안 정면 반박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 “최대집 전 회장 전철 밟지 마라”

헤럴드경제

서울대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 긴급 심포지엄에 참석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이 서울대병원 전공의 대표의 발표를 듣고 있다. 이날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고 '대한민국 의료가 나아가야 할 길'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은 최안나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임현택 의협 회장과 함께하는범 의료계 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제안에 대해 “들은 바 없다”며 선을 그었다.

박단 비대위원장은 19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범 의료계 대책위원회 공동 위원장에 대해서는 들은 바 없다”며 “현 상황에서 범 의료계 협의체를 구성하더라도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표명했다”고 말했다.

이는 최 대변인의 말을 정면 반박한 것이다. 최 대변인은 18일 의협 궐기대회가 끝난 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대위원장 자리가 비어 있다”며 “같이 의료정상화를 논의하자고 (제안했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범의료계 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자리를 제안한 것이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전에도 의협 관계자를 만났다고 언급하며 합의되지 않은 내용을 언론에 언급하지 말라고 전했다고 밝혔다. 박 비대위원장은 “지난 4월 29일 의협 임현택 회장, 박용언 부회장, 성혜영 이사, 채동영 이사, 박종혁 이사를 만났다”며 “당시에도 임현택 회장이 범 의료계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여 거절한 바 있으며, 합의되지 않은 내용을 언론에 언급할 경우 선을 그을 것이라고 분명하게 말했다”고 적었다.

이어 18일 의협 총궐기에서 발표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역시 일방적인 발표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무기한 휴진 역시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및 시도의사회와 상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임현택 회장은 언론 등 대외적인 입장 표명을 조금 더 신중하게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추가적으로 임현택 회장에게 유감의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박 위원장은 “최근 임현택 회장이 한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손 뗄까요?” 라고 언급한 바 있다“며 ”전공의 문제, ‘전면 불개입’, ‘그립’과 같은 단어 선택은 대단히 부적절한 처사이며, 이를 통해 현 사태에 임하는 임현택 회장의 자세가 드러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임 회장을 비판했다.

또 “대한의사협회가 발표한 세 가지 요구안은 대한전공의협의회 일곱 가지 요구안에서 명백히 후퇴한 안이며,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 요구안에 동의할 수 없다”며 “임현택 회장은 최대집 전 회장의 전철을 밟지 않길 바란다”고 했다.

정부와의 대화도 무의미하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전공의의 요구안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정부가 사직한 전공의의 복귀를 원한다면 전공의와 이야기하면 된다”면서도 “이미 용산에 들어가 윤석열 대통령까지 만나고 왔다. 대화는 할 만큼 했다. 정부의 입장 변화가 없는 지금, 추가적인 대화는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현 상황에 대한 입장을 표했다.

박단 위원장이 밝힌 대한전공의협의회의 요구안은 아래와 같다.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2000명 의대 증원 계획 전면 백지화 ▷과학적인 의사 수급 추계 위한 기구 설치해 증원과 감원 함께 논의 ▷수련 병원의,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위한 구체적 대책 제시 ▷주 80시간에 달하는 열악한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전공의 겁박하는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전공의에게 정식 사과 ▷의료법 제59조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해 헌법과 국제노동기구(ILO)의 강제 노동 금지 조항 준수다.

g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