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울진 원자력 수소 국가 산업 단지…국무회의 예타 면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헌석 기자(=울진)(juju6119@naver.com)]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조성 안이 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관련 사업들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레시안

▲경북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일대에 46 만평 규모로 조성될 울진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조감도 ⓒ울진군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국가 정책 사업으로 확정된 국가 산단은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한 산단 중 지방권 최초로 이는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가 입주 수요가 충분하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단 임을 국가가 인정한 결과다.

울진군은 국가정책사업으로 확정됨에 따라 산단 조성 사업비가 확정돼 조성계획과 더불어 개발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가 진행된다.

죽변면 후정리 일대에 46만평 규모로 조성될 울진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약 4천억 원을 들여 원전 10기에서 생산되는 무탄소 전기(2GW)를 활용, 연간 30만 톤의 수소를 생산, 저장, 운송, 활용을 위한 수소 산업의 전주기 업체가 입주할 예정이다.

울진군은 원자력수소 국가 산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선제적인 대응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다.

먼저 울진 산단을 중심으로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을 위해 다양한 업체와 협의를 진행해 왔으며, 현재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 GS에너지, 삼성E&A, SK에코플랜트, 효성중공업, DL E&C, BHI, SK D&D, 삼성물산이 입주 예정이다.

또한 무탄소 전원인 원전 전력의 국가 산단 직접 공급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 한수원 등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해 오고 있다.

지난 범정부 추진지원단 회의에서 손병복 울진군수가 건의한 울진산단에서 생산되는 수소 운송 방안 마련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다양한 운송 방법을 검토 중이다.

이외에도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여 운송할 수 있는 액체수소 도입 및 출하를 위한 해상터미널 구축, 육로 운송을 위한 죽변역에서 산단까지 철로 연결, 국도 36호선 확장, 고속도로 건설, 수소 운송용 파이프라인 건설도 장기 과제로 검토하고 있다.

한편 손 군수는 산단 내 입주예정 기업과 함께 울진산단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 수소특화단지 지정은 물론 첨단전략산업에 수소를 추가하는 첨단전략산업 수소특화단지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중이다.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기업유치 인센티브 확보, R&D 정비·확충, 인력양성, 추진체계에 대한 협력적 정비 등이 범정부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첨단산업 발전의 다양성 확보, 노동시장의 질적 구조고도화, 특성화 고부터 대학원에 이르는 인력양성 체계 구축 운영의 내실화를 꽤 하게된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이번 결정으로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은 물론,지역 발전으로 향하는 길은 아직 많은 과정이 남은 만큼 산단의 본격적인 운영까지 차근차근 최선을 다하겠다"며 "군민 여러분께서도 한마음으로 함께 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헌석 기자(=울진)(juju6119@naver.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