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최저임금 인상과 갈등

소상공인 "최저임금, 업종별 구분 적용 필요" 한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8일 소상공인연합회 기자회견 개최

주휴수당 폐지 등 주장하기도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소상공인들은 ‘업종별 구분 적용’과 ‘주휴수당 폐지’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아시아경제

지난해 6월21일 오후 서울 국회의사당역 인근에서 열린 최저임금 동결 촉구 결의대회에서 소상공인연합회원들이 관련 손피켓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제공=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18일 서울 여의도 소공연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도 최저임금 소상공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유기준 소공연 회장 직무대행은 기자회견을 통해 “최저임금은 지난 2017년 6470원에서 2024년 9860원으로 50% 이상 상승했다”며 “같은 기간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017년 158만명에서 2023년 141만명으로 17만명 줄었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15만명에서 437만명으로 22만명이나 늘어날 정도로 소상공인이 한계상황에 내몰렸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특별한 기술이나 유관 경력이 없는 저숙련 초년생들도 낮은 허들로 쉽게 진입할 수 있고, 노동생산성도 낮은 편의점·커피숍·PC방 등의 업종에서 구분 적용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높다”며 “근로자에게 사회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인건비 부담을 낮춰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업종별 구분 적용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회장 직무대행은 또한 “현재 최저임금은 사용자·노동자·공익위원이 결정하는 민간주도 방식을 표방하고 있으나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는 공익위원의 의도대로 결정되고 있다”며 “최저임금을 통해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고자 한다면, 정부가 최저임금 결정에 참여하고 소상공인의 고용에 대한 실효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서 소상공인의 고통을 덜어줘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편의점, 카페, PC방, 음식점, 미용실 등을 운영하는 업종별 소상공인이 참석했다. 이들은 최저임금 관련 업종별 요구사항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카페를 운영하는 서지훈 대표는 “5년여 전까지만 해도 아르바이트생을 월평균 200시간가량 고용했는데, 지금은 3명을 주 15시간 미만으로 총 120시간밖에 고용을 못한다”며 “소상공인에게는 관리의 어려움을, 근로자에게는 메뚜기 근무를 강요하는 주휴수당을 하루속히 폐지해야 한다”고 했다.

PC방을 운영하는 김성수 대표는 “많은 사장님들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쉬는 날도 없이 10시간, 16시간씩 근무하는 게 현실”이라며 “이미 노동자들은 법적이나 제도적으로 많은 보호장치가 있지만 경제활동의 한 축인 자영업자들을 위한 보호장치는 보기 힘들다. 자영업자는 갑이 아니고 같이 보호받아야 할 우리 경제 구성원”이라고 주장했다.

미용실을 운영하는 김선녀 원장은 “미용업계는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고용에 대한 부담이 커져 1인 사업장이 급증했다”며 “자격증과 면허를 취득해도 숙련된 미용사가 되기까지는 보통 3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해당 기간에는 근로와 교육이 병행되는 점을 고려하여 직업능력개발기금 등을 만들어 고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