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중국 5월 실물 지표, 소비만 선방…정책 완화 기조 지속 전망”[차이나 마켓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물 지표를 두고 소비만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평가하며, 정책 완화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5월 중국의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7% 늘어 예상치(3.0%)와 전월 증가율(2.3%) 모두 웃돌았다.

이동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와 올해 노동절 연휴 기간 차이와 618 페스티벌이 5월에 조기 시작된 영향이 반영됐다”며 “이구환신 정책 효과로 가전제품 판매도 개선됐을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건자재 소매판매는 5월에도 부진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5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5.6% 증가해 예상치(6.2%)와 4월 증가율(6.7%)을 모두 밑돌았다. 이 연구원은 “수출이 견조했으나 지난해 노동절 연휴 일정 차이의 영향을 받았다”고 했다.

그는 “1~5월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지만 예상치는 밑돌았다”며 “부동산투자뿐만 아니라 인프라투자도 부진했다. 다만, 제조업 투자는 견조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이어 “4월 부동산 판매·신규착공·건설·완공 데이터는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가 이어지며 부진, 부동산 정책 효과가 지표에 아직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5월 도시 실업률은 5.0%로 4월과 동일했다”고 전했다.

소비를 제외한 실물 지표가 부진하면서 중국 정부의 정책 완화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원은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4.9%로 유지한다”며 “상반기에 더뎠던 인프라 투자 집행이 하반기에 늘어나며 경기 방어에 나설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통화정책은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완화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중국 인민은행은 6월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1년물 금리를 동결했는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이전에 정책금리를 내리는 것에 부담이 있다고 판단된다. 정책금리는 4분기에 1회 인하될 전망”이라고 했다.

다만, 이 연구원은 “5월 실물 지표가 중화권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이라며 “시장의 관심이 점차 7월 3중전회에 집중되는 시기”라고 짚었다.

[이투데이/박민규 기자 (pmk8989@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