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성동구, 여름철 집중폭우 피해 없도록 주거취약 계층 특별 대책 마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난관리기금 6억 편성 모든 반지하 주택에 물막이판 설치 지원 나서 올해 189세대 물막이판 설치 완료... 주민과 함께하는 ‘재해 취약가구 돌봄대’로 사각지대 발굴, 유사시 대피를 위한 임시주거시설 47개소 확보...지난해 총 2164세대 반지하 주택에 침수·화재 등 방지시설 7종 중 최소 1종 이상 설치 완료

아시아경제

차수판 점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여름철 이상기온에 따른 집중폭우에 대비해 특별대책팀(TF)을 구성, 반지하 등 위험 거처의 주거 안전 확보에 나섰다고 밝혔다.

부구청장 단장으로 총 6개 부서로 구성된 특별대책팀은 반지하 등 위험거처 거주자들의 여름철 폭우 및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해 유기적인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성동구는 지난해 반지하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13개 부서로 구성된 주거 안전 티에프(TF)를 운영해 지역 내 4777개의 반지하 주택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A+ 등급에서 D등급까지 위험도에 따른 5가지 등급으로 구분해 지원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총 2164세대 반지하 주택에 침수·화재 등 방지시설 7종(▲물막이판 ▲역류방지기 ▲개폐식 방범창 ▲침수경보기 ▲스마트환풍기 ▲소화기 ▲화재경보기) 중 1종 이상을 설치 완료했다.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된 C, D등급 반지하 가구에는 이주를 희망하는 취약계층의 경우 지상층으로 주거지를 이전하도록 조치하고, 사정상 이주를 할 수 없는 어르신 세대는 이주 시까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택 개량 사업을 실시했다.

지난해에는 침수 사고 예방을 위한 주거환경 조성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이에 더하여 사각지대 발굴 및 더욱 촘촘한 지원에 나설 계획임에 따라, 모든 반지하 주택에 침수 방지시설인 물막이판(차수판)을 설치하도록 적극 독려하고 집중적인 재점검에 나선다.

침수 이력이 있는 세대에만 물막이판을 지원할 경우, 집값 하락 등 문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한 집주인이 설치를 거부하는 사례가 있었던 탓에 성동구는 지난해부터 침수 이력과 상관없이 모든 반지하 주택에 물막이판 설치를 독려해 왔다. 그럼에도 미관상, 혹은 기타 이유로 여전히 물막이판 설치를 거부하는 반지하 주택이 남아 있어 추가적인 설득에 나서게 된 것이다.

성동구는 이에 앞서 물막이판 설치를 위해 재난관리기금 6억 원을 편성했다. 더불어, 동주민센터와 협조체계를 구축해 물막이판 설치를 꺼리는 건물주, 임차인을 설득한 결과 올해 들어 189세대가 물막이판을 설치했다. 구는 신규 설치 요청뿐만 아니라 노후 된 물막이판 재설치 요청에 대해서도 즉시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통장, 직능단체 회원 등 주민과 함께하는 ‘재해 취약가구 돌봄대’도 새롭게 운영에 나섰다. ‘재해 취약가구 돌봄대’는 폭우 시 안전에 취약한 반지하 주택을 순찰, 물막이판, 역류방지기, 개폐식방범창 등 기존 지원 설비를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 비상 연락망을 구축해 유사시 신속한 상황전파는 물론, 주거 취약가구 발굴에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방침이다.

또, 동주민센터, 학교, 민간숙박시설 등 임시주거시설 47개소를 확보해 폭우 피해로 이재민 발생 시 구민의 불편함이 없도록 대비하고 있다.

성동구는 주거취약 계층인 옥탑방에 대한 실태조사도 실시한다. 지난해 출범한 복지안전협의체를 통해 6월까지 현장 조사를 완료하고 7월부터는 민간재원을 활용해 폭염 대비를 위한 냉방꾸러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올여름에는 비가 많이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침수 피해를 예방하도록 민, 관이 협력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주민 모두가 폭우, 폭염을 비롯한 각종 기후재난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