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오늘 푸틴 방북 속 韓中 외교안보대화…北문제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년만에 재개…김홍균-쑨웨이둥 차관급 수석대표

'中 건설적 역할' 촉구할 듯…푸틴 방북 언급 주목

뉴시스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악수하며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5.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변해정 기자 = 18일 한반도에서 북러 정상회담과 한중 고위급 외교안보대화가 나란히 열린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에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결속력을 과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 맞서 한중 외교전으로 맞불을 놓는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양자회의실에서 한중 외교안보대화가 개최된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지난달 26일 한일중 정상회의 계기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의 양자회담에서 합의된 사안이다.

외교부에서는 차관이, 국방부에서는 국장급 관료가 참석하는 '2+2' 형태의 대화 협의체다. 과거 2013년과 2015년 국장급으로 열린 바 있으며 이번에는 9년 만에 차관급으로 격상돼 처음 개최되는 것이다.

우리 측은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1차관과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참석한다. 중국 측에서는 수석대표인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과 장바오췬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이 자리한다.

한중은 양자관계나 주변 정세에 대한 입장을 교환하며 관계를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그러나 외교안보 분야 대화 기구라는 점에서 북한 문제를 떼놓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최근 대남 오물풍선 살포 및 정찰위성·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로 인한 우리 정부의 '9·19 군사합의'의 전부 효력정지 결정과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 남북한 강대강 대치 국면에 대한 언급이 나올 수 있다. 한국으로서는 러시아와 밀착을 높이며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 방문함에 따라 관련 사안이 다뤄질 수 있다.

북한과 러시아는 '북중러 대 한미일'라는 신냉전 구도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싶어 하지만 중국은 이를 탐탁지 않게 여기며 한국과 점차 가까워지고 있어 수교 75주년을 맞은 북중 사이에 이상 기류가 계속 감지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한중 외교안보대화가 북러 정상회담과 시기를 맞춘 것이 아니며 한중관계 개선에 초점을 둘 것이란 입장이지만, 북러 밀착이 공동의 관심사인 만큼 중국의 입장 표명에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는 "이번 한중 간 대화에서 양국은 양자 관계와 한반도 문제, 지역 및 국제정세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pyu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