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공급 확대’냐 ‘수요 관리’냐, 부동산 업계는 ‘갑론을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산연 “규제 풀어 사업성 높여야”…“단기적 처방 급급 안 돼” 반론도

부동산 업계에서 최근 ‘주택 공급 부족론’이 다수 제기되는 가운데 가격 급등 여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가격 급등 우려로 각종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동시에, 주택 공급을 과도하게 확대할 경우 장기적으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수요 측면을 고려한 정책도 필요하다는 반론이 나왔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7일 국회 세미나에서 2022년 이후 주택 공급 부족분이 쌓이면서 올해까지 누적 부족량이 약 47만호라고 추산했다.

근거는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주택 수요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김덕례 주산연 주택연구실장(선임연구위원)의 분석을 보면, 1인 가구 증가로 전체 가구는 2020년 1988만가구에서 2030년 2172만가구까지 늘 것으로 추산했다.

반면 주택 공급 지표 중 하나인 인허가 물량은 올해 약 38만호로 예상했다. 지난해보다 11.4%, 예년 평균(54만호)보다 30% 줄어든 규모이다. 특히 60㎡ 이하 소형 주택의 인허가 물량은 올해 6만7000호로 전체의 17.6%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오피스텔, 생활숙박시설 등 비주택은 예년 평균보다 9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 물량 감소의 원인으로는 공사비 급등, 미분양 적체, 고금리 등이 꼽혔다.

주산연은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며 지자체의 임의적 분양가 규제 금지, 분양아파트 기본형 건축비 현실화, 중도금·잔금 대출 규제 완화 등으로 사업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공급 부족으로 인한 집값 급등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의견도 만만찮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토론회에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도시도 축소되는 상황에서 단기적 처방(공급 확대)에 주력했다가 장기적인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에 1인 청년가구의 급증을 예상치 못했지만 앞으로도 그런 현상이 계속되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공급보다는 주택 수요를 줄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2022년 부동산 침체기에도 공급이 적었지만 수요가 적어 집값이 하락했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국책연구기관 관계자는 “최근 주택 공급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고 예년 수준으로 회복할 필요도 있다”면서도 “침체한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해 공급과 수요를 모두 확대하는 정책이 추진될 경우 오히려 가격 급등을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빌라 등 비아파트 공급 확대를 위해 다주택자에 대한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 교수는 “좋든 싫든 안정적인 물량 공급을 위해서는 다주택자의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