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북러, 푸틴 방북 동시 발표…"김정은 초청에 18~19일 방문"(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중통 "18~19일 국가방문" 공식 확인

푸틴, 2000년 이후 24년 만에 평양 방문

'자동군사개입' 근접한 협력 강화 여부 주목

뉴시스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러시아)=AP/뉴시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2023년 9월13일 러시아 동부 아무르 지역의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2024.06.1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김예진 기자 = 17일 북한과 러시아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동시 발표했다.

이날 북한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국무위원장 김정은 동지의 초청에 따라 로씨야(러시아)련방 대통령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 동지가 6월 18일-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가방문하게 된다"고 밝혔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크렘린궁이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크렘린궁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북한에 이어 19~20일 베트남을 찾는다.

푸틴 대통령 답방이 성사된 건 지난해 9월 러시아 보스토니치 우주기지에서 북러 정상이 회담한 이후 9개월 만이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마주 앉는 건 2019년, 지난해 9월에 이어 세 번째다.

푸틴 대통령 방북은 김 위원장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기인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당시 북러 정상은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계기로 같은 해 2월 맺었던 '조러 친선·선린 및 협조에 관한 조약'에 기반한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공동선언엔 북한과 소련이 1961년 체결했다가 1995년 파기된 '조·소 우호 협력 및 호상 원조 조약'과 같은 '자동군사개입'이 명시되진 않았지만, 유사 시 "지체없이 서로 접촉할 용의를 표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제사회는 양국이 이번 회담을 통해 어느 정도 수위으로 군사·안보 협력을 강화할지 주시하고 있다. 전쟁에 연루될 부담을 안아야 하는 자동군사개입 수준은 아니더라도, 군사협력 관계를 어느 정도로 격상할지가 관건이다.

군사협력 강화 방안뿐 아니라 북한 노동자 파견, 관광지 개발 등 경제협력 및 다양한 문화 교류 등도 의제로 오를 수 있다.

일각에선 북러가 동맹조약에 가까운 새 조약을 맺거나 이른바 '평양선언'을 채택해 장기적·전략적 협력관계를 문서화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 북러 정상회담에선 양국 공동 기자회견이나 공동선언 발표가 없었다.

이날 대통령실은 북한과 러시아가 유사 시 '자동군사개입'을 하는 수준의 조약을 맺을 가능성까지 고려해서 대응을 준비하는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aci27@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