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대학병원 휴진 본격화…“환자 도구 삼아 정부 압박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대 이어 주요 대학병원·의협도 집단행동 임박…환자단체 “휴진 강력 규탄”

이투데이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을 시작으로 주요 대학병원 교수들이 집단휴진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처분 문제를 두고 정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가 합의점을 찾지 못해, 당분간 환자들의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빅5’ 대학병원 집단휴진…무기한 휴진 가능성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서울대 의대 산하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소속 교수 과반이 휴진에 들어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전체 교수의 90.3%가 집단휴진을 지지했으며, 이번 주 외래 휴진·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등의 조치를 시행한 교수는 529명(54.6%)으로 파악됐다.

서울대 의대를 시작으로 주요 대학병원 교수들도 집단휴진에 가세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세의대 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연세대 의대 및 그 산하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및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시행한다고 예고한 상태다. 비대위가 실시한 의견조사에서 735명의 교수 중 531명(72.2%)이 무기한 휴진에 동의했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무기한 휴진 논의를 시작했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교수들은 18일 의협 주관의 전국의사궐기대회와 집단휴진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향후 정부의 정책 변화를 촉구하기 위한 무기한 휴진을 이어갈지 교수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하고 총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울산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의협 차원의 18일 휴진에 동참한다. 울산의대 교수 비대위가 서울아산병원 교수진을 대상으로 진행한 의견조사 결과, 전체 교수의 64.7%가 응답했으며, 응답자의 93.7%가 휴진에 찬성했다.

가톨릭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역시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8개 병원 소속 교수들이 18일 휴진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으며, 향후 정부의 대응에 따라 추가적인 무기한 휴진도 논의할 예정이다.

의협의 18일 집단휴진 여파는 전국적으로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전국 20개 의과대학이 모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와 전국 40개 의과대학 교수들이 소속된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이 이날 휴진과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의협은 전날 △의대 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 취소, 사법 처리 위협 중단 등 3개 대정부 요구사항이 수용될 경우 집단행동을 멈추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불법적인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부에게 정책 사항을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라며 선을 그었다.

이투데이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 구급차들이 정차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자단체 “의사들, 환자 고려 없이 휴진 무기 삼아 이익 관철”


환자들은 의대 교수들과 의협의 휴진에 대해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로 쓰고 있다”라며 철회를 촉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서울의대 비대위가 목적 달성을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라는 선택을 꼭 했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라며 “의협의 3대 요구안 내용 및 집단 휴진 강행 여부 결정방법은 환자들의 치료와 안전에 대한 고려가 일절 없음을 여실히 보여줬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서울의대 비대위는 응급환자·중증환자가 피해 보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비응급이나 중등도 환자는 불안과 피해를 겪어도 된다는 의미인가”라며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될 수 없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공의 9000여 명이 4개월 이상 의료현장을 이탈한 상황에서 의대 교수 마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돌입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 불안과 피해는 더욱 커질 것이고 환자안전도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환자는 집단 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을 무기로 삼는 의사를 도와줄 수도, 함께할 수도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투데이/한성주 기자 (hsj@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