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노소영 "서울대 후배들에게 실망…지방대 학생들에 감동" 무슨 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2개 대학서 특강 진행 후 SNS에 소회 글

"챗GPT에 지능 밀린 시대, 교육 목적 재고할 때"

뉴스1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 서초구 고등법원에서 열린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이혼 관련 항소심 변론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며 발언하고 있다. 2024.4.1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송이 기자 =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모교인 서울대와 지방대에서 특강을 진행한 뒤 각 학교 학생들과 소통하며 느낀 소회를 밝히며 교육의 목적을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노 관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tabula rasa(백지)'란 제목의 글을 썼다. 그는 "지난주 두 곳의 학교에서 특강을 했다. 한 곳은 지방대학, 다른 한 곳은 서울대학. 학부생 수업이라 부담됐지만 좀 비교해 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며 말문을 열었다.

계명대학교에서 먼저 강의했다는 노 관장은 "담당 교수 왈 아이들이 좀 주눅이 들어있고 질문을 안 한다 하더라. 이 아이들을 깨워 달란 주문이었다. 대구까지 내려가 한두 놈이라도 깨워 놓고 오겠다는 각오로 출동했다"고 했다.

이어 "수업 전 잠시 총장님께 인사드리러 본관에 들렀더니, 희고 커다란 빈 캔버스가 계단 정중앙에서 나를 맞았다"며 "심상치 않아 물어보니, 총장님의 교육철학이라 한다. tabula rasa. 백지. 정체성과 관련되는 것이 아닐까 넘겨짚었더니 총장님 얼굴이 환해지셨다"고 했다.

노 관장은 50분의 강연 후 40~50명의 학생에게 포스트잇을 나눠주고 "질문이나 코멘트, 무엇이라도 써 내지 않으면 나가지 못한다"고 선언했다고 했다. 이후 한 장씩 읽어보며 학생들의 글에 감동받았다는 노 관장은 "우선 순수했고, 진지한 질문들이었다"며 "tabula rasa에 감명받은 나는 정체성에 관한 이야기를 좀 했는데 질문들이 제대로 정곡을 찔렀다. 진지한 고민들이 묻어나는 질문들이었다. 어떤 친구는 '관장님의 타불라 라사에는 어떤 그림이 있나요?'라고 물어왔다"고 했다.

나흘 후 서울대 학부생들을 만나 비슷한 강의를 진행한 노 관장은 "서울대 주임교수는 질문들을 먼저 받아 내게 줬다. '이런 고차원의 생각들을 한단 말이야?'하고 기대 반, 우려 반으로 강의에 임했다"고 했다.

하지만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서 노 관장은 학생들에게 "나는 가슴에서 나오는 질문을 더 좋아한다"고 말하며 진솔한 소통을 유도했으나 불가능했다고 했다.

그는 "가슴으로 말하려면 가드를 내려야 하는데, 이들은 잔뜩 경직돼 있었다"며 "뭔가 아는 척을 하지 않으면 인간 취급을 못 받는 것처럼 말하는데, 학부생이 아는 척을 하면 금방 바닥이 보인다. 그래서 할 수 없이 바닥을 보여줬다. 몇몇 희생자들이 지나가니 아이들의 관심도가 급 높아졌고, 한 학생은 최신 정보를 얻는 소스가 어디냐 묻기도 했다. 나오면서 주임교수에게 '좀 실망스러웠다'고 느낀 그대로 이야기했더니 본인도 지방대에서 가르칠 때가 더 좋았다 하더라"고 말했다.

두 학교를 비교하며 많은 생각을 했다는 노 관장은 "한쪽은 평범한 지방대, 다른 한쪽은 이 사회 최고 엘리트들이 모인 곳인데 문제는 챗 GPT 등의 인공지능이 서울대 학부생의 지능을 훨씬 넘어섰다는 것"이라며 현실을 꼬집었다.

그러면서 "교육시스템의 문제를 넘어 이제 교육의 목적 자체를 재고할 때"라고 강조하며 "나는 tabula rasa를 상기하면서 계명대 친구들에게 이렇게 말했었다. '삶 또는 배움의 목적은 저 빈 캔버스에 멋진 자화상을 그리는 것이다. 정체성이야말로 최고의 예술이고, 우리 모두가 자신만의 붓을 손에 들고 있다. 자, 어떻게 그릴 것인가?'라고.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은 정체성이 기반이 돼야 한다. 그래야 오리지널(독창성)이 생기고, 그것만이 인간이 기계를 이길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달 30일 노 관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이혼소송 항소심에서 최 회장에게 위자료 20억 원과 재산분할로 1조 3808억 원을 받아야 한다는 판결을 받았다.

syk1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