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일본, '사도광산' 일부 지역 빼고 유산등재 강행… 정부 "전체 역사 반영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 정부 "국제기구 권고 일부 수용 방침"
'조선인 강제징용 역사 숨기기' 비판에도
에도시대 역사만 반영해 세계유산 추진
한국일보

사도광산을 대표하는 일본 아이카와 금은산에서 메이지 시대 이후 건설된 갱도. 사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일본이 등재 대상 구역을 조정하라는 자문기구 권고를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세계유산 등재를 강행하기 위해 국제기구 권고를 일부 수용하는 형식을 취한 것인데, 동시에 강제동원 역사를 감추려는 의도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외교부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 자문기구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의 권고를 수용,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대상 지역에서 기타자와 부유 선광장 등이 포함된 일부 구역을 제외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 문화청은 전날 집권 자민당 회의에서 이 같은 방침을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를 담당하는 이코모스는 지난 6일 사도광산의 유산 등재에 대해 '보류(refer)' 권고한 바 있다. 당초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대상 시기를 에도시대(1603~1868년)로 한정했는데, 기타자와 지구는 이 시기 이후에 조성된 근대유산이어서다. 기타자와 지구를 등재 신청 범위에서 제외하고,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는 게 이코모스의 보류 권고 취지였다.

일본 정부의 이번 결정은 사도광산을 상징하는 대표 경관 기타자와 지구의 등재를 포기하고서라도, 끝내 조선인 강제노동 역사를 숨기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일 양국 정부는 현재 사도광산 등재 문제와 관련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등재 여부는 다음 달 21~31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문화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한국 정부는 사도광산이 강제노역의 현장이라는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등재 대상 시기에 일제강점기가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은 이코모스 권고에도 반영돼 있다"며 "일본이 이 권고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위용성 기자 up@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