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AI가 비료 추천한다… LG CNS, 나주시에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ㆍ빅데이터ㆍIoT로 농작물 생육 환경 제어
무인 드론ㆍ트랙터 등 무인 농기계 관리도


이투데이

LG CNS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 구축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 CNS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 구축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라남도와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부터 ‘첨단 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 플랫폼’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사업은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에 위치한 54만3000㎡(16만 평, 축구장 면적의 약 76배) 규모 논과 밭(노지)에 ‘지능화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팜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정보통신 기술(IT)로 농작물 등의 생육 환경을 제어ㆍ관리하는 차세대 농장이다.

이번 사업에서 LG CNS는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팜의 두뇌 격인 지능화 플랫폼을 구현했다. LG CNS의 지능화 플랫폼을 활용하면 농사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해 농작물의 생산량을 극대화하고,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해당 플랫폼은 △데이터 기반 지능형 서비스 △생산량 및 가격 예측 △무인 농기계 관제 등 3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기반 지능형 서비스는 토양ㆍ기상ㆍ병해충 발생 등 농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최적의 농사 가이드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토양 상태ㆍ성분 등 데이터 기반으로 “어떤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비료의 적정 사용량은 얼마인지” 등을 추천해준다. 과거 기상정보와 미래 기상예보를 분석해 토양에 필요한 용수공급 및 배수 계획을 수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농작물의 병해충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지능형 서비스는 병해충 발생 시기 예측부터 진단, 방제 약제 추천까지 단계별 맞춤 정보를 제공한다.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조류와 동물들은 디지털 허수아비가 철통 방어한다. 디지털 허수아비는 AI 이미지 센서, 레이저, 스피커 등이 장착된 장비다.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해 레이저를 쏘거나, 동물이 기피하는 주파수를 내보내는 등 방법으로 유해한 조류와 동물을 퇴치한다.

농작물의 생산량과 가격을 예측해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창출도 돕는다. LG CNS는 과거 수십 년간 축적된 전남 지역의 기상자료 약 2만2000개를 추가 적용해 생산량 예측 모델을 고도화했다. 시스템에 작물종류ㆍ파종일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수확 시기에 따라 농작물의 가격을 예측해준다.

지능화 플랫폼은 무인 트랙터ㆍ무인 드론ㆍ무인 이앙기 등 다양한 무인 농기계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연료 잔량과 고장 여부 등 농기계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하고, 날짜ㆍ시간대별 작업 일정도 관리할 수 있다. 지능화 플랫폼은 LG CNS의 자체 스마트시티 플랫폼 ‘시티허브’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이번 나주시 스마트팜은 전라남도 농업기술원과 전라남도 종자관리소에서 시범 운영된다. LG CNS는 향후 스마트팜을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준호 상무는 “LG CNS의 디지털 전환 기술 역량을 결집한 지능화 플랫폼으로 노지형 스마트팜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스마트팜을 비롯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사업을 적극 추진해 차별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투데이/이은주 기자 (letswi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