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취업과 일자리

취업 시장에 청년 설 자리 없네…빛바랜 ‘고용률 7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월, 60대 1%P ↑ 청년 0.7%P ↓

저임금·불안정 일자리 위주 늘어

정부 “휴일 등 일시적 요인 영향”

경향신문

퇴직금 지급 기한, 정답은? 1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고졸 인재 채용박람회에서 학생들이 한 참가업체 부스에서 퀴즈를 맞히고 있다. 148개 기업·기관·대학이 참여한 이번 박람회는 13일까지 열린다. 정효진 기자 hoho@kyunghyang.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15세 이상 고용률이 역대 처음으로 70%를 기록했으나 고령층·불안정 일자리는 늘고 청년 고용률은 떨어졌다.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만명 늘어나는 데 그쳐 3년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증가 폭을 보였다. 정부는 조사기간에 부처님오신날이 포함되고 날씨 등 일시적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5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15~64세 고용률은 70.0%로 지난해 같은 달의 69.9%보다 0.1%포인트 올랐다. 고용률이 70%대를 기록한 것은 198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고용률이 호전된 이유는 베이비붐 세대인 60대 고용률이 전체 수치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46.9%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떨어졌다. 60세 이상 고용률은 47.4%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올랐다. 청년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7만3000명 줄었는데,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그보다 많은 26만5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오른 3.0%였다. 모든 연령대에서 실업자가 늘어났는데, 청년 상승폭이 가장 컸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6.7%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올랐다. 통계청은 코로나19 대유행이 끝나면서 노인 일자리 사업·청년 인턴 등에 지원하는 구직활동이 활발해져 실업률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저임금·불안정 일자리가 늘었다. 고령 여성 노동자들이 주로 종사하는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9만4000명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입국관광객 증가 등으로 8만명 늘어나는 등 증가폭이 커졌다. 배달 라이더 등 운수·창고업 취업자도 4만9000명 늘었다.

반면 도소매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7만3000명 줄었다. 건설업에서도 수주 둔화의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4만7000명 줄었다. 건설현장 인력알선업 취업자가 줄어들면서 사업시설 취업자도 6만4000명 줄었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최근 이상 기후 등 영향으로 3만4000명 줄었다.

고용형태별로 보면 임시직(계약직) 노동자가 24만9000명 늘어 고용 증가세를 주도했다. 상용직 노동자는 7만5000명 느는 데 그쳤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3년3개월 만의 최소치인 8만명을 기록했다. 올해 1~2월 30만명대를 유지했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3월 17만3000명으로 급감했다가 4월에는 20만명대에 재진입했으나, 한 달 만에 8만명대로 내려앉았다. 정부는 올해 5월 부처님오신날이 포함돼 근로일수가 줄어드는 등 일시적 요인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