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취업과 일자리

5월 취업자 8만명 증가에 그쳐… 39개월만에 최소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0세 이상 취업자 26만명 늘고

15∼29세 청년층은 17만명 줄어

주휴수당 없는 초단시간 고용 급증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8만 명 늘어나는 데 그치며 코로나19 이후 가장 적은 증가 폭을 보였다. 내수 침체에 도소매 취업자가 7만 명 넘게 줄었고, 주휴 수당을 주지 않기 위한 쪼개기 고용으로 초단시간 근로자도 급증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91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8만 명 늘어난 규모로, 증가 폭으로는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적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 취업자가 1년 새 7만3000명 줄며 고용 둔화세를 이끌었다. 무인화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물가, 고금리로 내수도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게 영향을 미쳤다. 건설경기가 얼어붙으며 인력사무소가 포함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건설업 일자리도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7만3000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청년층 취업자가 2021년 1월(31만4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면서 청년층 실업률은 6.7%로 0.9%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6만5000명 늘었다.

고용의 질도 악화됐다. 상대적으로 정규직이 많은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40% 줄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51.6% 급증했다. 특히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는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24.3% 늘어난 192만4000명으로 역대 5월 중 가장 많았다. 내수 악화에 최저임금 부담까지 겹쳐 쪼개기 고용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실업자는 9만7000명 늘어 2021년 2월(20만1000명) 이후 가장 크게 증가했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일자리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5월 취업자 증가 폭 축소는 고용동향 조사 기간에 휴일이 포함되는 등 일시적 요인이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