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머스크 "챗GPT 탑재한 아이폰, 회사에서 금지할 것"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찬 기자]

(사진=셔터스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플이 오픈AI의 인공지능(AI)를 탑재한다고 발표하자, 일론 머스크가 회사에서 애플 기기의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반발했다. 표면적으로는 애플 기기에 오픈AI의 챗GPT 통합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지적했지만, 실상은 애플과 계약을 체결한 오픈AI에 대한 견제 반응으로 해석된다.

테크크런치는 10이(현지시간) 머스크가 자신의 X에 "애플이 운영체제(OS) 수준에서 오픈AI를 통합한다면 내가 운영하는 회사에서는 애플 기기 반입을 금지할 것"이라며 "이는 용납할 수 없는 보안 위반"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우리 회사 방문객도 입구에서 애플 기기 보유 여부를 확인받고 보관함에 넣어놔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I타임스

애플은 이날 미 캘리포니아 본사에서 열린 WWDC 2024에서 iOS 18로 업데이트 하면 사람들은 챗GPT에서 하듯 시리에게 자유롭게 질문을 할 수 있고, 시리도 챗GPT처럼 자연스러운 대답을 내놓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허가하면, 챗GPT를 활용해 문서 작성, PDF 요약 등 작업도 할 수 있다.

머스크는 이런 방식으로 시리를 사용하면 아이폰 사용자 정보가 오픈AI로 넘어간다고 주장했다. 애플이 오픈AI에 사용자 데이터를 넘겨주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알 길이 없고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도 알 수 없다는 설명이다.

이에 애플은 사용자가 허락하지 않는 한 사용자 정보가 오픈AI로 넘어가지 않는다고 강조했지만, 머스크 CEO는 이를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머스크는 "그렇다면 챗GPT를 iOS에 통합할 것이 아니라 앱으로 남겨둬야 했다"고 반박했다.

머스크의 이같은 반응은 오픈AI에 대한 반발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머스크는 오픈AI와 사이가 좋지 않다. 머스크는 2015년 오픈AI CEO인 샘 올트먼과 함께 오픈AI를 세웠으나 2018년 테슬라의 AI 연구에 따른 이해충돌 문제로 오픈AI와 헤어진 바 있다. 오픈AI가 챗GPT 출시 등으로 시장 주목을 받자, 머스크는 오픈AI의 영리사업 등을 집요하게 꼬집기도 했다.

또 일부 외신들은 머스크의 처사가 오픈AI와 애플의 성공을 막기 위한 흠집 내기라고 지적했다.

테크크런치는 "머스크는 오픈AI가 애플의 운영 체제에 깊이 통합돼 있고 아이폰 내의 사적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며 "이는 머스크가 애플이 오픈AI와 발표한 관계를 오해하고 있거나, 최소한 사용자들에게 의심의 여지를 남기려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Copyright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