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中, 위안화 약세 감수하고 통화정책 카드 쓸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경제학자 “달러당 7.5~7.6위안 수용 가능”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위안화 가치 하락을 일부 감수하더라도 경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통화정책 완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리칭 중앙재경대 국제금융센터 소장은 10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과 다른 나라의 경험, 지난 몇 년 간 중국 상황을 볼 때 어느 정도 환율이 하락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반드시 나쁘지만은 않다”고 밝혔다. 그는 당국이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더욱 센 통화 완화와 확장적 재정 정책은 물론 더 강력한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며 이는 위안화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 소장은 “중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큰 상황에 위안화 가치 하락을 막는 것은 금리 인상이나 자본 통제 강화를 의미하지만 그렇게 하면 중국의 성장 전망이 훼손될 수 있다”며 위안화 약세를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1달러당 위안화 환율이 약 7.1위안대이지만 자본 유출로 이어지지 않는 마지노선으로 7.5~7.6위안 수준은 수용 가능한 범위라고 내다봤다.

한편 중국 경제는 회복 조짐을 보이며 주요 경제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로 ‘5% 안팎’을 제시한 중국은 1분기에 5.3% 성장하며 기대 이상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문제는 장기간 이어진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장 소장은 “단기적으로 중국의 경제 회복은 정부 정책이 부동산 시장에서 얼마나 많은 반등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최근 계약금 비율을 낮추고 전국적으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최저 금리를 설정하는 정책을 폐지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에 나섰다. 이런 상황에 부동산 시장이 눈에 띄는 반등을 경험한다면 경제 회복은 강한 탄력을 받겠지만 반대의 경우 경제적 불확실성은 커질 수 밖에 없다.

장 소장은 “경기 침체기에는 재정 정책이 통화 정책보다 더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중국 정부는 지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빙식을 재고해야 한다”며 지금은 통화 정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3월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는 적극적인 경기 부양을 위해 지급준비율(지준율)과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여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후 지준율이나 LPR 인하가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미국과의 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불안감과 회복되고 있는 경제 상황에 따라 당국의 통화 정책 조정 시기는 3분기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brigh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