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野는 “국면전환용” 폄훼하는데…尹지지율, ‘석유’가 열쇠될까[數싸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지지율 21%, 취임 후 최저

TK마저 35%, 보수층 돌아서

尹, 위기 속 ‘자원’·‘안보’ 카드

전문가들 “소폭 반등 그칠 것”

헤럴드경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지난 3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 참석해 문화 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최저 위기를 맞은 국정 지지율 불씨에 기름을 부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선 ‘포항 영일만 석유·가스 매장’ 이슈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국면전환용”이라는 의심을 품었고, 전문가들은 “당장 극적인 반등 효과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전문가들은 ‘9·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에 대해선 소폭 상승효과가 생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4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5월 5주 차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21%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조사 대비 3%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난 4·10 총선 직후 실시된 조사에서 23%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었지만, 이번 조사에서 그보다 더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윤 대통령에 대한 긍정 평가가 대구·경북 지역에서 35%, 보수층에서 38%에 그치면서, “보수 지지자들도 돌아서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70%로, 직전 조사 대비 3%P 올라 취임 후 최고치를 보였다.

윤 대통령은 이러한 상황 속 ‘자원’과 ‘안보’라는 두 개의 카드를 꺼내 들었다. ‘포항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과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 정지’가 그것이다.

윤 대통령은 전날 직접 국정브리핑을 통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며 “최대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고, 유수 연구기관과 전문가들 검증도 거쳤다”고 밝혔다.

국가안보실은 전날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실무조정회의를 열고, 북한의 사실상 폐기선언으로 유명무실화한 ‘9·19 군사합의’의 효력을 정지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지속된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살포와 위치정보시스템(GPS) 전파교란 등 도발에 따른 조치다.

전문가들은 ‘석유’ 이슈가 당장 지지율 반등에 영향을 주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의 경우엔 보수층 결집 효과를 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영일만 이슈의 경우 이미 박정희 시대부터 나온 얘기로 지지율을 올리는 데 그렇게 유용할 거라고 보이지 않는다”면서도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는 상황이 상황인 만큼 국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수층을 조금 결집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영일만 석유 이슈는 일종의 호재 몰아주기”라며 “전반적으로 윤 대통령을 옥죄고 있는 낮은 지지율을 상승세로 전환하긴 어렵고 소폭 상승 가능성 정도”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이번 9·19 건은 북한 도발에 대한 맞대응 성격으로 과거에도 대북 문제와 관련해 강경 대응 건이 부각되면 지지율이 조금이라도 올랐다”며 “크게 상승하기보단 추가 하락세를 차단하는 수준 정도가 될 것 같다”고 봤다.

민주당에선 이번 두 사안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해식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전날 논평을 통해 “정부가 전망대로 충분한 매장량을 확인한다면, 고통에 신음하는 민생과 경제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발표가 하락세의 지지율을 전환하기 위한 국면 전환용 발표는 아닌지 매우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또 연이은 논평에서 “대통령실이 9.19 군사합의를 전면 효력 정지하겠다고 선포했다”며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로 백일하에 드러난 윤석열 정부의 안보 무능에 터져 나오는 국민의 분노를 돌리려는 꼼수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pooh@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