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기아, 5월 국내 판매 8%↓… 세단·EV 부진 속 만년 4위 셀토스 ‘역주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8 부분변경 앞두고 세단 수요 위축

1위 쏘렌토 하이브리드 비중 73%

내연기관 전용 셀토스, 작년 대비 28%↑ ‘역주행’

“K3 단종 앞두고 준중형 수요 흡수” 분석

친환경차 성장 하이브리드가 주도

차종(레이EV·EV9) 늘었지만 EV 판매 14%↓

동아일보

기아 셀토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아는 지난달 국내 4만6110대, 해외 21만7819대, 특수 384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총 26만4313대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한 수치다. 국내 판매량 감소가 전체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해외 판매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0.6%↓, 특수 판매 제외)을 기록했다.

국내 판매는 8.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경차와 세단을 포함한 승용 모델 판매량이 총 1만918대에 그치면서 32.0% 줄어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 반면 카니발과 SUV 등 RV 판매대수는 7.6% 증가한 3만1024대로 준수한 실적을 보였다. 세단의 경우 준대형 세단 K8이 부분변경을 앞두고 판매량이 많이 줄었고 중형 세단 K5도 신차(부분변경)효과가 급격하게 수그러드는 양상이다. 세단 구매 수요가 K8 부분변경 모델을 기다리면서 신차구매를 망설이는 모습도 감지된다. 작년 5월과 비교해 K5는 24.0% 빠졌고 K8은 58.3% 줄었다.

모델별로는 쏘렌토가 7487대로 브랜드 내에서 가장 많은 판매고를 올렸다. 이중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대수는 5453대로 쏘렌토 판매량 전체의 72.8% 비중을 차지했다. 카니발은 7211대로 2위다.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3544대가 팔려 49.1% 비중을 기록했다. 큰 덩치에 1.6 가솔린 터보 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되면서 출력과 연비 등 동력성능 부족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실용적인 장점이 부각되면서 우려가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타보면 전반적으로 준수한 주행성능을 보여준다. 6644대 팔린 스포티지는 3위에 올랐다. 하이브리드 버전은 3055대로 비중은 46.0%다.
동아일보

기아 쏘렌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만년 4위권 셀토스의 강세가 인상적이다. 지난달 6120대의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스포티지를 바짝 뒤쫓았다. 4700여대 수준 작년 5월 대비 27.7% 늘어난 판매대수로 인기 ‘역주행’ 현상이 벌어졌다. 별도로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등 친환경 모델 없이 내연기관 모델만으로 거둔 실적이다. 셀토스는 출시 당시 차체가 작지만 스포티지에 버금가는 상품성과 준수한 연비 등이 좋은 평가를 받은 모델이다. 친환경 파워트레인 대세 흐름 속에 내연기관 모델이지만 충분히 실용적으로 탈 수 있는 차로 인식되는 분위기다. 차체 크기에 비해 넉넉한 실내 공간도 셀토스의 주요 장점 중 하나다. 여기에 준중형 세단 K3가 단종을 앞둔 상황에서 해당 수요가 ‘이참에’ 세단 대신 소형 SUV인 셀토스로 옮겨간 상황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실제로 기아 관계자는 K3 단종 시 해당 수요를 셀토스와 EV3, EV4 등이 흡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EV3와 EV4의 경우 차체 크기는 비슷한 급으로 볼 수 있지만 전기차인 만큼 가격 측면에서 K3와 괴리가 큰 편이다. 또한 전기차에 대한 수요 감소세로 인해 EV3와 EV4가 K3 구매 수요를 흡수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평가다. 결국 K3 구매 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모델로는 셀토스가 유일한 셈이다. 기아가 별도로 언급한 적은 없지만 셀토스에 하이브리드 엔진이 적용되면 브랜드 내에서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을 보인다.

셀토스에 이어 레이가 4456대(전기차 1278대 포함)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K5 2405대(하이브리드 863대), K8 1873대(하이브리드 858대), 니로 1776대(전기차 180대), EV6 1380대, K3 995대, K9 282대, 모하비 224대, EV9 182대 순으로 집계됐다. 상용차인 봉고트럭은 4050대 팔렸고 이중 전기차 모델은 462대다.
동아일보

기아 EV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아 브랜드 친환경차(하이브리드, 전기차, 봉고EV 등 포함) 판매량도 눈여겨 볼만하다. 지난달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총 1만8851대로 전년(1만6882대) 대비 11.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대수가 작년 5월 1만2840대에서 지난달 1만5369대로 19.7%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 전기차 판매량은 작년 4042대에서 3482대로 13.9% 감소하면서 뒷걸음질 쳤다. 특히 지난해 5월에는 판매되지 않았던 레이EV와 EV9 등 전기차 라인업 강화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판매 실적은 오히려 하락한 것이다. 전기차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둔화) 현상이 실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결과적으로 국내 친환경차 시장 성장은 여전히 하이브리드 모델이 주도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달 기아 해외 판매대수는 0.6% 감소한 21만7819대를 기록했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해외에서도 하이브리드 모델이 많은 인기를 끌면서 전년 수준 판매 실적을 거뒀다. 해외 시장 베스트셀링 모델은 4만6025대 팔린 스포티지로 부동의 1위를 유지했다. 셀토스와 K3(포르테)는 각각 2만1524대, 2만1285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새로운 전기차 EV3 출시와 카니발 하이브리드 수출 본격화 등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모델을 아우르는 판매 확대를 통해 친환경차 중심 믹스 개선을 동반한 양적 성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기아 카니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민범 동아닷컴 기자 mbki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