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맹비난 쏟아낸 해병대 예비역들…특검법, 與에 비수 되어 돌아오나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병대 예비역, 국회서 고성 항의
보수 성향 짙지만, 與에 강한 반발
야권은 해병대 예비역들 접점 늘려


매일경제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의원들이 지난달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그 뒤로 야당 의원들이 해병대원 특검법 재표결 찬성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게 뭐하는 거냐!” “여기서도 입을 틀어막을 것이냐!”

“너희는 보수가 아니야! 보수를 사칭하는 OOO들이지!”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린 지난달 28일 오후 국회 방청객석에서는 고함과 야유, 욕설이 쏟아졌다. ‘채상병 특검법’이 부결되자 해병대 예비역 연대 회원들이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해 고성을 지른 것이다. 해병들의 울분 섞인 항의는 좀처럼 끝나지 않았다.

그간 국내에서 보수 성향 정당이 활동을 펼칠 때마다 나란히 서서 한목소리를 내 온 곳이 바로 해병대 관련 단체들이었다. 이날 국회에서는 국민의힘에 동조하는 해병대 예비역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취재진 사이에서도 “낯설다”는 말이 오갈 정도였다.

매일경제

지난달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김진표 국회의장이 ‘채상병 특검법’ 부결 사실을 발표하자 해병대 예비역들이 고성을 지르며 항의하는 모습. [이상현 기자]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채상병 특검법)’ 재표결에는 21대 국회 재적 의원 296명 중 294명이 참여했다. 공천 갈등 후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한 이수진 무소속 의원과 구속 중인 윤관석 무소속 의원은 불참했다.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이 국회를 다시 통과하려면 재석 의원 과반이 출석하고, 출석 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이날 참석자 기준으로는 196명이 찬성해야 특검법이 통과되지만, 찬성표는 179표에 그쳤다. 반대가 111표, 기권이 4표였다.

법안이 최종 부결되면서 국민의힘은 잠시나마 한숨 돌리게 됐다. 당은 이날 본회의 직전에도 긴급의원총회를 열고 채상병 특검법에 대한 부결 당론을 채택하는 등 내부 단속에 혈안이었다. 정치권에서는 총선 참패 후 구성된 새 지도부의 첫 도전 과제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전투에서는 승리했지만, 전쟁에서도 승기를 거머쥘지는 미지수다. 192석에 달하는 범야권을 상대할 국민의힘 의석수는 21대 113석에서 22대 108석으로 줄었다. 그런 가운데 민주당은 새 국회의 1호 법안으로 채상병 특검법과 ‘민생회복지원금특별법’을 채택·발의했다.

매일경제

제22대 국회 개원 첫날인 지난달 30일 국회 의안과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민병대(왼쪽), 김용민 의원이 당론 1호 법안인 ‘해병대 특검법’, ‘민생위기 특별 조치법’을 제출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두 법안이 국회 의안과에 제출된 지난달 30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권력자의 부당한 개입과 은폐 시도가 이제 진실의 법정 앞에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며 “국민과 함께 채상병 특검법을 반드시, 끝까지 관철해 내겠다”고 강조했다.

22대 국회 첫날부터 야권이 공세를 시작한 가운데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채상병 특검법을 둘러싼 여야 대치가 장기화할 경우, 정부·여당의 지지율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단 우려가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보수층의 ‘내분’까지 초래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한 정계 관계자는 “국회에서 목소리를 낸 그 해병대 예비역들이 기존에 다른 정치 집회에 참여했는지는 알지 못한다”면서도 “중요한 건 해병대 옷을 입은 이들이 공개 석상에서 국민의힘과 반대편에 선 채 당을 규탄하는 목소리를 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 당시 탄핵 반대 집회를 비롯해 보수 집회와 활동에 해병대 전우회가 단골 아니었나”라며 “애국, 보수 등 키워드를 표방해온 국민의힘의 가장 강력한 지지자들이 채상병 특검법을 계기로 돌아서고 있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매일경제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조국혁신당의 조국 대표 등이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역 앞에서 열린 야당·시민사회 공동 해병대원특검법 거부 규탄 및 통과 촉구 범국민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야권에서는 벌써 이같은 점을 인지하고 해병대 단체와의 접점을 늘리는 분위기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경우 지난달 25일 서울역 앞에서 열린 집회에 해병대를 상징하는 붉은색 티셔츠를 덧대 입고 참석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특검이 사안의 실체적 진실에 대한 수사보다 정쟁의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서 반대하고 있다. 추경호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 등은 최근 이를 강조하며 “지금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시간”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공수처와 경찰 등의 수사가 마무리된 뒤 미흡한 부분이 있을 경우 여야 합의를 통해 특검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야권과의 강 대 강 대결 구도는 수사 결과가 발표되기 전에 또다시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남권 출신에 해병대 예비역인 한 유권자는 “국민의힘이 아닌 다른 정당을 지지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일로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며 “당국의 수사가 끝나고 국민의힘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다른 해병대 예비역들과 함께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