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27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시대 데이터 정책은…"대량학습 수반, 공공 투자·개선 나서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종합)과기정통부·NIA, '데이터 중심 AI 가속화 밋업' 개최

머니투데이

/사진=성시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의 초거대 AI(인공지능) 접근방식은 대량의 데이터학습을 수반한다. 데이터 구축·정규화·개방·공유와 인프라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가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개최한 '데이터 중심 AI 가속화 밋업(Meet-up·비공식회의) 시리즈' 기조연설에서 데이터 개방과 투자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대표는 "올해와 내년까지 멀티모달 기술이 고도화되고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며 "안타깝게도 멀티모달은 국내 데이터가 많지 않다. 각 기업도 데이터 구축에 상당히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 손을 못 대는 곳이 많다"고 강조했다.

데이터의 중요성은 생성형 AI의 등장 이후 더욱 주목받는 추세다.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AI) 기술과 함께 변화하는 데이터의 특징과 준비성(Readiness) 등을 현업인들로부터 파악하고자 이날 행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토론 패널로 나선 국내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AI허브·공공데이터포털·빅데이터플랫폼 등 정부가 구축한 공공 인프라를 호평하면서도 AI 시대에 맞춘 변화를 주문했다. 구름 빅밸류 대표는 "정부의 데이터 공개로 우리 회사가 딛고 일어설 수 있었다"면서도 "다만 공공데이터 개선이 필요할 때 이를 전달할 곳이 없고 개선도 늦다. 공공데이터 공급자인 정부도 시장에 참여해 소통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현동 슈퍼브AI 부대표는 "1년 단위의 데이터 사업은 아쉽다"며 "AI 데이터가 흐르는 주기를 마련해 산업을 발전시키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미지·영상 AI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국내 데이터가 부족하고, 관련 제도도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황현지 스모어톡 대표는 "한국은 특유한 스타일의 이미지 데이터를 여전히 보유하지 못했다"며 "저작권 문제가 없는 데이터나 적법한 허가 얻은 데이터가 없어 최대한 쥐어짜서 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지는 초상권도 문제인데, 명확한 규제를 정부가 정해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산업발전을 위해 정부가 AI 활용사례를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세현 셀렉트스타 대표는 "AI를 위한 과업을 만들 필요는 없지만, 정부가 먼저 활용사례를 만들고, 공유하는 게 진정한 민간협력"이라고 했다. 이현동 대표는 "기업이 베팅(투자)하려면 아주 큰 혜택을 얻은 전례가 필요하다"며 "이걸 해낼 수 있는 곳은 공공기관"이라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실시간 데이터수집과 자동 전처리기술 △안전한 데이터 활용기술 △데이터 거래 활성화 지원방안 등을 주제로 밋업 시리즈를 연중 9차례 진행할 계획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정책관은 "데이터 활용에 대해선 컨센서스(공감대)와 기준이 모호해진 상황"이라며 "학계와 기업이 수요와 의견을 과감하게 이야기해주면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성시호 기자 shsu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