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서울경찰청과 협업
허위 수술기록으로 실손보험금 21억원 편취
금융감독원은 여성형유방증 등의 허위 수술기록으로 보험금 21억원을 편취한 기업형 보험사기 일당을 검거했다고 28일 밝혔다. '보험사기 신고센터'에 입수된 정보를 토대로 지난해 9월 서울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해 이달 일당 대부분을 검거했다.
조폭 일원인 A씨는 기업형 브로커 조직을 설립해 보험사기 총책으로서 범죄를 기획했다. 이 조직의 대표 B씨는 보험사기 공모 병원의 이사로 활동하며 실손보험이 있는 가짜환자를 모집했다. 초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 소속인 보험설계사 C씨는 A씨 조직이 모집한 가짜환자에게 보험상품 보장내역을 분석해 추가로 보험에 가입하도록 하고 허위 보험금 청구를 대행했다. 심지어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금감원에 민원을 제기하는 요령까지 매뉴얼로 배포했다.
의료진 D씨와 E씨 등은 텔레그램으로 가짜환자 명단을 브로커들과 공유하며 허위의 수술기록(여성형유방증·다한증)을 발급했다. 또 브로커들과 매월 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정산했다. 수술하지 않아 남은 프로포폴 등 마약성 마취제는 일부 의료진이 직접 투약하거나 유통하기까지 했다.
다수의 조폭 조직이 포함된 약 260명의 가짜환자들은 주로 입원실에서 단순히 채혈만 하고 6시간 동안 머물다가 퇴원하면서 허위의 진료기록을 발급받아 보험금 21억원(1인당 평균 800만원)을 청구했다. 통상 6시간 이상 병실에 머무르면 통원이 아닌 입원으로 인정돼 보험금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악용했다. 일부 조폭은 적발을 피하기 위해 가슴 부분에 수술 흔적을 가장한 상처 자국을 내거나, 병원에서 발급해 준 다른 사람의 수술 전·후 사진을 제출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은 브로커와 병·의원이 연계된 조직형 보험사기를 척결하기 위해 지난 1월11일 금감원과 경찰청이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첫 번째 가시적인 성과를 이룬 사례다. 최근 브로커 조직이 갈수록 기업화·대형화되면서 교묘한 수법으로 환자를 유인하고 있는 추세다. 보험사기를 주도한 병원이나 브로커뿐 아니라 이들의 솔깃한 제안에 동조·가담한 환자들도 형사처벌을 받은 사례가 많아 보험계약자들은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기는 보험제도의 근간을 훼손하고 선량한 보험가입자의 보험료 인상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민생침해 금융범죄"라며 "금감원과 경찰청은 앞으로도 보험사기 척결을 위해 적극 공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