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친절한 경제] 고물가·고금리 최대 피해, 30대 청년층 전세 세입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화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빠듯해진 우리 살림살이를 보여주는 통계가 또 있네요. 높은 물가 때문에 누가 가장 손해를 봤는지가 확인이 된다고요?

<기자>

고공행진해 온 물가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손해를 크게 봤던 사람들이 누굴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요.

고령층과 더불어서 30대 세입자들, 청년 전세 세입자들이 손해를 크게 봤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입니다.

2019년 이후로 치솟은 물가와 높아진 금리에 연령별, 주거 형태별로 어떻게 영향을 받았나 한국은행이 분석해 봤습니다.

그래프를 하나 보시게 될 텐데요, 이겁니다. 우측 상단으로 갈수록 금리와 물가가 높아져서 이득을 봤다고 할 수 있는 집단이고요.

좌측 하단으로 갈수록 고물가 고금리로 손해를 봤다고 할 수 있는 그룹입니다.

그냥 한눈에 봐도 이득만 크게 본 집단은 없습니다.

그래도 굳이 구분을 해보자면 자기 집이 있는 중년층이 그나마 우측 중간에 대체로 모여 있습니다.

고물가 고금리로 약간의 이득을 본 측면도 있는 사람들이라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자기 집이 있어도 65세 이상의 노년층으로 접어들게 되면 이런 이익들이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전세 세입자인 45세 미만의 청년층과 초기 중년층, 이 사람들은 고물가로도, 고금리로도 가장 큰 손해를 본 집단에 속하는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앵커>

청년층이 고민도 많고 부담도 많은 나이인데 물가로 고생도 많이 하네요. 왜 이렇게 나타난 겁니까?

<기자>

일단 물가 측면을 보면, 물가가 높아진다는 건 그만큼 돈 가치가 떨어진다.

이 1만 원 한 장으로 살 수 있는 게 줄어든다는 얘기가 됩니다.

실물이 아니라 그냥 돈, 금융자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그 자산의 가치가 줄어들게 되는 겁니다.

빚이 많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그 빚의 크기가 줄어드는 효과도 좀 있습니다.

청년층은 생애 주기상 자기 집을 사든, 전세로 살든 대출이 많은 시기입니다.

그런데 전세는 집주인에게 무이자로 목돈을 예치시켜 놓은 거나 마찬가지인 상태죠.

무이자이니까 금리가 올라간다고 이득을 볼 수도 없습니다.

전세보증금 목돈의 가치가 떨어져 가는 걸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특히 그냥 자기 돈으로 전세를 낸 게 아니라 전세대출까지 낸 청년층이라면 손해가 가장 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빚을 많이 내서 자가를 마련한 청년층, 다시 말해 영끌족들도 금리가 워낙 오르는 바람에 이자비용이 늘어서 고통을 받았습니다.

한국은행은 이 사람들이 진 빚의 가치가 사실상 하락함으로써 고금리의 이득을 본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어차피 이자비용이 너무 커져서 그런 효과가 상당 부분 상쇄됐다고 봤습니다.

30~40대에서 소득이 중상 정도로 잘 버는 편이고, 소비를 활발히 했던 사람들, 즉 아주 부자는 아닌데 젊고 잘 벌기 때문에 빚을 꽤 내고 돈도 쓸 수 있었던 사람들일수록 물가가 올라서 소비에 타격을 입고 금리가 올라서 또 손해를 봤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입니다.

<앵커>

물가가 오르면 사람들이 돈 쓸 여유도 없어지잖아요. 실제로 소비가 얼마나 줄었는지도 분석이 있네요.

<기자>

일단 지난 3년간 누적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8%였습니다.

매년 3.8%씩 오른 셈인데요.

2010년대에 물가는 매년 1.4% 오르는데 그쳤던 것에 비하면 얼마나 고물가 시기로 돌변했나 새삼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층은 웬만하면 돈을 아끼고 식료품처럼 꼭 필요한 것 위주로 소비를 합니다.

이런 고령층에게 실질적인 물가상승률은 누적 16%에 달했던 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4년간 식료품이나 에너지 비용처럼 아무리 절약한다고 해도 꼭 써야 하는 필수품목들이 특히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고령층과 소비 습관이 비슷한 저소득층도 누적 15.5%의 물가 급등을 경험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이렇게 물가 부담이 급격히 늘고 사람들이 가진 돈의 가치가 하락한 영향까지 따졌을 때 2021년과 22년 사이에만 소비증가율이 약 5% 포인트가량 줄어들었을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같은 기간에 소비가 실제로는 9.4%가 늘어났는데, 물가만 이렇게 높지 않았어도 14% 넘게 소비가 늘어났을 거란 얘기입니다.

국내 경제에 지금 가장 큰 문제는 소비 부진, 내수 부진으로 꼽힙니다.

물가 부담을 빠르게 낮추는 게 지금 경기를 살리는 데도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입증됐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권애리 기자 ailee17@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