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尹 “한일중 교역·투자 활성화해야...기업 투자는 3국관계 안전판”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윤석열 대통령,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연설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4.5.27 zjin@yna.co.kr/2024-05-27 12:49:00/<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일중 3국의 역내 교역과 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일중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함께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무엇보다 기업의 투자는 3국 관계의 안전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구체적인 경제 협력 방안으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활용 △한일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재개를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외국 투자자들이 예측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 3국 정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 발맞춰 경제인 여러분도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기후위기 등 글로벌 이슈 공동대응과 ‘글로벌 사우스’(남반구 개발도상국) 국가와의 포용적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 강화 등을 제안했다.

윤 대통령은 “1999년부터 시작된 한일중 3국 협력이 올해로 25주년을 맞았으며, 지난 25년은 수천 년을 이어온 3국 간 교류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긴밀하고 호혜적인 협력으로 경제적, 문화적 번영을 이룬 시기”라고 평가했다.

뿐만 아니라 “K팝 그룹에서 최고의 기량을 함께 펼치고 있는 한일중 청년들을 보면서 3국 협력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곁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일중 경제인들이 힘을 모은다면 우리 3국이 세계를 이끄는 주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는 “정부 간, 기업 간, 그리고 정부 기업 간의 연대를 강화해 일한중의 대응을 향후 더욱 강화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 “무역, 투자 양면에서 깊은 관계가 있는 일한중 3국에서 RCEP 협정 플러스를 목표로 미래지향적인 일한중 FTA에 대해 진솔한 의견 교환을 해나가겠다”며 3국 간 문화 교류, 인적 교류의 확고한 추진도 약속했다.

기시다 총리는 특히 문화, 디지털 콘텐츠를 강조하며 “정부 간뿐만 아니라 관계 기관과 산업 간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관련 산업의 공동 발전을 지향하겠다”고 했다.

리 총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창한 ‘친선혜용’(親善惠容‧이웃 국가와 친하게 지내고 성실하게 대하며 혜택을 주고 포용한다)을 언급하며 “중한일 3국은 가까운 이웃 나라로서 서로 많이 친하고 의지하여 공통점과 유사한 부분이 많이 존재하면서 서로 긴밀하게 융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한국, 일본과 함께 지속적으로 역내 통합 가속화를 견인하고 더욱 평화하고 안정하며 발전 번영하는 새 국면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3국은 공동성명을 통해 3국 경제계가 무역 활성화 및 공급망 안정화 등을 위해 협력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후 변화 대응에 함께 노력하는 등의 내용을 밝혔다. 3국 경제계는 실무 협의체를 꾸려 공동 비즈니스 현안도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본행사 참석에 앞서 기시다 총리, 리창 총리와 각국 경제단체 대표 등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대한상공회의소·일본 경제단체연합회·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가 공동 주관한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은 지난 2009년 시작돼 올해로 8회째를 맞았으며, 2019년 12월 중국 청두 서밋 이후 4년 5개월 만에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 경제단체연합회장, 런홍빈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장 등 3국 기업인을 비롯해 240여 명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이 참석했고, 대통령실에서는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박춘섭 경제수석, 김태효 안보1차장 등이 자리했다.

[이투데이/정영인 기자 (oi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