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먹거리 물가 상승률, 7분기 연속 소득 증가율 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서울시내 한 음식점에서 판매중인 메뉴.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1분기도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도 김밥·치킨·피자·과자 등 주요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들의 먹거리 부담을 커질 전망이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6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 늘었다. 가처분소득은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실제 소비·저축 등에 쓸 수 있는 돈이다.

외식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8배다. 가공식품은 2.2%로 1.6배다.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소득 증가 폭보다 컸다는 얘기다.

이 같은 현상은 2022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7개 분기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1분기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37개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품목별 물가 상승률은 햄버거가 6.4%로 가장 높고 비빔밥(6.2%), 김밥(6.0%), 냉면(5.9%), 오리고기(외식)(5.8%), 떡볶이(5.7%), 도시락(5.7%), 치킨(5.2%) 등 순이었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에서는 절반 이상인 44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았다.

설탕과 소금은 각각 20.1%, 20.0%에 이르고 스프(11.7%), 초콜릿(11.7%), 아이스크림(10.9%), 당면(10.1%) 등 품목 가격 상승률도 10%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산균(-7.9%), 김치(-5.2%), 라면(-4.3%) 등 가격은 내렸다.

1분기에는 외식이나 가공식품보다 사과·배 등 농산물 부담이 더 컸다.

1분기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10.4%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7.5배였다. 과실 물가 상승률은 36.4%로 26.3배였다.

특히 사과는 물가 상승률이 71.9%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52.0배로 나타났다. 배는 63.1%로 45.7배였다.

1분기 사과 물가 상승률은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분기 기준 가장 높았다. 배는 1991년 3분기(74.5%) 이후 약 33년 만의 최고치다.

먹거리 물가 부담은 2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은 지난달 메뉴 가격을 100∼500원 정도 인상했다. 파파이스코리아는 치킨과 샌드위치, 사이드 메뉴, 디저트, 음료 등의 가격을 평균 4% 올렸다.

조미김 전문업체 광천김과 성경식품, 대천김은 지난달부터 김 가격을 올렸고 CJ제일제당은 이달 초 김 가격을 11∼30% 인상했다. 동원F&B도 내달부터 김 가격을 평균 15% 인상할 예정이다.

롯데웰푸드는 내달 1일부터 가나 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 가격을 올린다.

햄버거, 피자, 치킨 등 가격도 일제히 오르거나 인상될 예정이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지난달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1900원씩 인상했으며 맥도날드는 이달 2일부터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올렸다.

피자헛도 갈릭버터쉬림프, 치즈킹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BBQ는 오는 31일 치킨 메뉴 23개 가격을 평균 6.3% 올린다.

이에 대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소비자 단체들은 호실적을 보인 식품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제품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