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또 오른다" 식품·생필품 6월 가격 인상 예고…장바구니 물가 '들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샘표식품, 내달부터 간장제품 가격 7.8% 인상

내달 ‘양반김’도 15% 인상, 롯데 초콜릿도 올라

편의점 면도기·건전지도 10% 인상 예정

총선 이후 가격인상 본격화, 외식물가도 우려

[이데일리 김정유 한전진 기자] 다음 달부터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국민 반찬’ 조미김, ‘필수 장류’ 간장 등 일상적으로 먹는 식재료 가격이 잇달아 오르는데다 아이들이 많이 찾는 초콜릿 과자류, 편의점에서 파는 일부 생필품들의 가격 인상까지 예고돼 있어서다.

이데일리

마트에서 판매중인 간장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대형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주요 식재료의 소비자 가격 인상이 본격화한다. 대표적인 제품은 간장이다. 국내 1위 업체인 샘표식품(248170)은 다음 달 중순 자사 간장 제품 가격을 평균 7.8% 인상키로 했다. 대표 제품인 ‘샘표 양조간장 501’의 가격은 11.8%나 오른다.

회사 관계자는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동참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최대한 미뤄왔지만 대두 등 원재료 비용과 제조비 상승으로 결국 인상하게 됐다”고 말했다.

샘표식품의 장류 제품 가격 인상은 약 2년 만이다. 앞서 샘표식품은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장류 평균 가격을 11.5% 인상했다. 업계에선 최근 고물가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샘표식품에 이어 다른 장류 제조사들도 가격 인상에 나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미김 가격도 오른다. 동원F&B(049770)는 다음 달 1일부터 자사 ‘양반김’ 전 제품 가격을 평균 15% 올린다. 주요 품목인 ‘양반 들기름김 (식탁 20봉)’은 9480원에서 1만980원으로 15.8%, ‘양반 참기름김 (식탁 9봉)’은 4780원에서 5480원으로 14.6% 판매가가 인상된다. 김의 원료인 원초 가격이 전년대비 2배 상승한 것이 원인이다.

앞서 CJ제일제당(097950)도 김 가격을 11∼30% 인상했다. ‘CJ비비고 직화 들기름김’(5g 20봉), ‘CJ 비비고 직화 참기름김’(4.5g 20봉) 가격을 8980원에서 9980원으로 1000원(11%) 올리고 ‘CJ 명가 재래김’(4g 16봉)은 5380원에서 6980원으로 1600원(30%) 올렸고 중소 김 업체인 광천김과 대천김, 성경식품도 10∼30%가량 인상했다.

과자류 가격 인상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다음 달 1일부터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롯데웰푸드(280360) ABC초콜릿(187g)은 4780원에서 5280원으로 10.5% 인상된다. 가나마일드(70g)는 1920원에서 2240원으로 16.7% 오르고 빈츠(240g)도 4780원으로 6.7% 오른다. 역시 초콜릿 주 원료인 코코아 가격 상승 때문이다.

식품에 이어 편의점 생필품 가격까지 들썩이고 있다. 면도기, 건전지 등이 대표적이다. ‘질레트 마하3’ 면도기 가격은 1만3100원에서 1만4500원으로 10.7% 오르고 ‘듀라셀’ 건전지 17종도 약 9% 인상된다. 앞서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선 지난 달 납품가가 상승한 생리대, 섬유유연제, 볼펜 등의 소비자 가격도 올린 바 있다.

지난 달 총선 이전 정부 눈치에 가격 인상을 최대한 억제해 왔던 식품·유통업계가 최근 원재료비 상승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하나 둘 가격을 올리고 있는 모습이다. 정부가 최근까지 “물가 상승을 자극하지 않게 가급적 가격 인상 시기를 늦춰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미 원가 압박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났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이처럼 주요 식재료 가격의 인상으로 조만간 외식 물가까지 연달아 상승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이미 최근 올리브유 가격이 오른데다 다음달부터 김, 간장 등 주요 식재료 가격이 오르게 되면 외식 물가에도 곧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서민들의 밥상물가 우려는 물론이고 식품 업체들도 가격에 대한 고민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시장에서 판매중인 김 사진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