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총선·가정의 달 지나자···장바구니 물가 한꺼번에 오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지난달 서울 한 대형마트에 빼빼로 등 초콜릿 과자가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물가 안정’ 압박에 잠시 유예됐던 장바구니 물가 인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총선 뒤나 가정의 달 뒤로 가격 인상 시점을 미뤘던 식품·외식업체들이 최근 연이어 가격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다음달 1일부터 초콜릿이 들어간 제품 17종의 가격을 평균 12% 인상한다.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의 권장소비자가격은 1200원에서 1400원으로, 빼빼로는 1700원에서 1800원으로 오른다. 코코아 주 생산지인 서아프리카의 기상이변과 병해로 생산량이 줄면서 최근 국제 코코아 가격이 1년 만에 3배 이상 뛰어 원가 압박이 심해졌다는 것이 업체 측 설명이다. 롯데웰푸드는 당초 이달 1일부터 가격을 올릴 계획이었으나 물가 안정을 위해 협조해달라는 정부 요청에 인상 시기를 한 달 늦췄다.

장류 가격도 올랐다. 국내 간장 시장 1위 업체인 샘표식품의 양조간장 30종 대형마트 판매가는 다음달 중순부터 평균 9.0% 오른다. 양조간장701(1.7ℓ) 제품 소비자가격은 1만7010원에서 1만8610원으로 인상된다. 샘표식품이 장류 가격을 인상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샘표식품은 재료비와 물류비 등이 계속 오르자 그동안 가격 인상을 검토해왔으나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따르기 위해 인상 시기를 늦춰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간 치솟는 먹거리 물가를 낮추기 위해 식품업계 등을 계속 압박해왔다. 지난해부터 간담회·현장방문 등을 잇따라 열며 업계에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고,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고 가공식품과 생필품 등의 용량을 몰래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에 과태료를 부과하겠다는 정책도 내놨다. 하지만 총선과 가정의 달이 지나자 원가 압박을 이기지 못한 업계가 미뤄둔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 증가는 피할 수 없게 됐다.

실제로 최근 1~2개월 사이 가공식품과 생필품 가격 인상이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김 원초 가격이 오르면서 CJ제일제당과 광천김, 대천김, 성경식품 등이 이달 초부터 김 제품 가격을 올린 데 이어 김 시장 1위 업체인 동원F&B도 다음달부터 조미김 가격을 인상한다. 동원 참기름김(4g 16봉)은 5990원에서 6490원으로, 대천김 구이김밥용김(22g 3봉)은 7990원에서 9990원으로 각각 오른다. CJ제일제당과 샘표식품은 최근 올리브유 가격을 최대 30% 이상 올렸다. 롯데칠성음료도 탄산음료 등의 가격을 5~8% 올리는 방안을 대형마트와 협의 중이다. 편의점에서는 6월1일부터 델몬트 콜드쥬스와 유동골뱅이, 질레트 면도기, 듀라셀 건전지 등의 가격이 일제히 오른다.

외식업계도 이달부터 줄줄이 음식값을 올리고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 BBQ는 지난 23일부터 황금올리브치킨 등 23개 제품 가격을 올리기로 했다가 가격 인상 시점을 이달 31일로 8일 늦추기로 했다. 재료비와 임대료, 에너지 비용 상승 등으로 가맹점주들이 운영난을 겪고 있다는 이유다. 굽네도 지난달 9개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맥도날드와 피자헛 등도 이달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올렸다.

식품업체들의 연이은 가격 인상 명분이 크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23일 성명에서 “최근 주요 식품업체 1분기 영업이익은 증가하고 매출원가율은 떨어졌다”며 “대부분 기업이 원가하락 요인이 있어도 여러 요인을 내세우며 소비자가에 적용하지 않는데, 그들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가격을 올릴 이유는 너무 많고 가격을 내릴 요인은 없다”고 했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