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당원주권시대’·‘법사위원장 추미애’...개딸에 사로잡힌 민주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이재명(오른쪽 두번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오른쪽) 원내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 더불어민주당 당선자 총회에서 국회의장 우원식(왼쪽), 추미애 후보 등 참석자들과 미소짓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장단 경선 후폭풍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추미애 당선자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후보자로 떠올랐다. 추 당선자의 당내 국회의장 경선 패배로 당원 2만여 명이 탈당하자 타개책을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

25일 민주당에 따르면 22대 국회 전반기 법사위원장 후보군으로 6선의 추미애 당선자, 4선의 정청래 의원, 3선의 박주민 의원 등이 물망에 올랐다. 통상 법사위원장은 3선 의원이 맡는 게 관례나 이례적으로 중진 의원이 후보군에 올랐다.

이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활용해 정부·여당을 견제하고 개혁 입법에 속도를 내달라는 당원들의 요구가 거세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추 당선자가 패배한 후 당원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동시에 ‘추미애 법사위원장 카드’가 부상했다.

민주당 당원 게시판 ‘블루웨이브’와 이 대표의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 등에서는 추 당선자를 법사위원장으로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우원식 때문에 난리 난 서초동 골든타임을 놓칠 수 없다”, “남은 바람은 추미애 장군님을 ‘법사위원장님’으로” 등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추 당선자의 경쟁자 격인 박 의원의 서울 은평구 지역 사무실 앞에는 “박주민 의원님, 마음대로 하셨다면 민주당 딱지 떼고 당원 없이 혼자 나가 당선되세요”라고 쓰인 대자보가 붙기도 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 당원권을 확대하거나 ‘당원주권국’ 설치를 검토하고 있지만, 쉽사리 잡히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만여 명의 당원 탈당으로 그치는가 했지만, 탈당 인원은 2만여 명으로 불어났다.

이 대표는 24일 페이스북에 “주권자와 대리인의 든든한 울타리가 될 신뢰의 벽돌을 하나하나 다시 쌓아 올리겠다”며 “포기하고 탈당할 것이 아니라 당의 주인으로서 회초리를 들어 민주주의를 위한 여러분의 도구로 바꿔달라”고 호소했다.

[이투데이/이난희 기자 (nancho0907@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