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의료계, 그동안 뭐했나 싶다" 서울의대 비대위원장 반성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의사 수 추계 연구' 관련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그간 의료계에서, 서울대 의대에서 올바른 의료체계에 대한 연구를 제대로 진행하지 못했던 것에 대해 다시 한번 반성한다.”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지난 21일 내놓은 기자회견문 내용이다. 비대위는 향후 의대 증원 재논의를 위해 적정 의사 수를 추계하는 연구를 공개 모집하고 있다.

비대위의 이런 시도를 놓고 의료계 안팎에서는 “많은 추계가 있으면 2026년 이후 증원 논의에서 도움될 것(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이라는 기대와 “대한의사협회(의협) 등 의료계가 진작했어야 할 일(권용진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이라는 아쉬움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여태껏 뭐했나” 비판에…서울의대 “반성한다”



비대위의 기자회견문을 읽은 강희경 비대위원장(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은 24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의대 증원) 논의를 위해서는 제대로 된 근거가 있어야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그동안 나도 그렇고 의료계가 (관련 연구를 하지 않고) 뭐했는지 싶다”라고 반성하면서도 “이제라도 합당하게 (의사 수 추계를) 연구해야 한다. 의사 수는 (지금처럼) 뚝딱 결정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비대위 측은 출판 논문에 대한 공모를 내년 1월 마감해 그다음 달쯤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내년도 증원이 사실상 확정된 뒤 연구 결과가 나오는 것이라 공모는 ‘2026년 이후’를 위한 추계라는 게 이들 설명이다.

중앙일보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왼쪽)이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의사 수 추계 연구' 관련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 위원장은 “‘뭐하다 인제 와서 이러냐’고 한다면 그 비판을 수긍한다”라며 “‘정책 분야를 잘 몰랐다’ ‘임상하느라 바빴다’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내년에라도 (추계를) 한다면 그게 저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덧붙였다.

강 위원장은 현재 의료계가 정부에 요구하고 있는 ‘원점 재검토’나 이전 비대위 제안인 ‘증원 1년 유예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제가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만 말하겠다”고 했다.

석 달 넘게 이어지는 의정 갈등을 놓고선 “(정책과 엮인) 각 직역이 자기 자리에서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는가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했다. 강 위원장은 “교수인 나는 진료와 연구에 매진할 테니 정책 입안자들은 이 갈등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해달라”며 “(증원)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진행한 게 문제다. 이걸 해결할 수 있는 건 정책을 하는 분들(정부)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24일 서울의 한 대학 의과대학의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 위원장은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지난 4월 사직서를 낸 상태다. 그의 사직 희망일은 오는 8월 31일이다. 강 위원장은 ‘사직서 제출’과 ‘자리(환자)를 지키지 않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설명했다. 사직 의사를 밝혔지만, 진료는 계속한다는 의미다. 강 위원장은 “환자를 떠나고 싶은 생각은 하나도 없다. 이 자리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의대 교수들의 사직이나 휴진에 대해선 “(전공의 부재로) 다들 너무 지친 상황이다. 위태위태할 것”이라고 했다.

강 위원장은 “의료계는 조건 없는 대화를 요구한다. 의대 증원을 전제 조건으로 하는 것은 정부”라며 “(정부와 의료계가) 조건 없는 대화를 이제라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혜선·문상혁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