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가자지구 임시부두 완공…구호물자 전달까진 ‘첩첩산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이 지난 17일 가자지구 해안에 임시부두를 완공해 구호물자 배급의 활로를 뚫었음에도 온전한 전달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가자지구 임시부두 개통 후 일주일간 가자지구 내 세계식량계획(WFP) 창고에 도착한 구호품은 트럭 70여대 분량에 그쳤다. 11대는 수송 도중 약탈당했다. 약탈이 발생한 뒤 이틀간은 구호품 운송이 아예 중단되기도 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신화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부두를 통해 하루 90대의 구호 트럭을 내보내고 최종적으로는 150대까지 늘리겠다는 당초 계획에 못 미치는 성과다. 미 국방부는 부두를 통한 인도적 지원이 팔레스타인인에게 거의 전달되지 못한 상태라고 인정했다.

이는 애당초 부두 건설 계획이 나왔을 때부터 예상됐던 문제다. 특히 가자지구에 미군이 주둔하고 있지 않은 것이 가장 큰 패인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은 1993년 소말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을 위해 부두를 설치한 적이 있다. 당시 미군 퇴역 소장 폴 이튼에 따르면 당시 미 경보병으로 이뤄진 4개 부대(약 2000명)는 구호품 수송을 위해 지상에 주둔했다.

그러나 가자지구에는 미군이 없기 때문에 이런 수송 작전이 불가능하다. 한 군사 분석가는 "미군은 엔진은 있지만, 바퀴가 없는 상태"라고 비유했다. 가자지구 주민들이 극심한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는 것도 문제다. 이들은 생존을 위해 구호품 약탈에 뛰어들고 있으며, 설상가상으로 구호품을 부풀린 가격에 돈 받고 판매하려는 암시장 상인들도 나타나고 있다.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UNRWA)와 미 당국자들은 호위 없이 구호품을 물류센터로 전달하는 일이 극도로 어렵다고 호소했다. 국제구호단체인 프로젝트 호프의 라비 토르베이 회장은 "부두를 마련하고 부두와 해안으로 물자를 운송하는 것이 하나의 일이라면, 가장 필요한 곳에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물류를 확보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게임"이라고 지적했다.

WFP는 이스라엘이 구호품 전달을 위한 '대체 경로'를 허가해주면 이 같은 교착 상태가 풀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1∼22일에는 기존 경로 대신 새로운 경로가 사용돼 구호품이 무사히 도착할 수 있었다고 WFP는 전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하더라도 해상 작전은 육로 작전보다 효율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두를 통해 하루 150대의 트럭을 보내더라도 가자 주민에게 필요한 양에는 훨씬 못 미치기 때문이다. 미군 퇴역 장군인 조지프 보텔 전 중부사령관은 "가자지구에는 구호품 전달을 위한 확립된 프로세스와 구조가 아직 없다"고 진단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