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중국 개인 예금 73조 원 감소…채권 등 투자상품으로 대이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정부, 예금 매력 줄여 경제 성장 촉진 노력
개인 소비 및 주식 투자 급증에는 이르지 못해


이투데이

월간 신규 위안화 예금. 출처 블룸버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들의 개인 자금이 예금에서 투자 상품으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총 예금은 지난달 1.3% 감소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3조9000억 위안(약 73조2030억 원)가량 쪼그라든 것이다.

중국 정부가 국민에게 예금에서 투자로 자금을 옮기도록 유도한 것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부분이 국채 등 채권과 자산관리 상품으로 유입됐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은행이 기업에 우대 예금 금리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했다. 높은 예금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에 자금을 맡기고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리는 기업의 ‘차익 거래’ 행위를 견제하기 위해서다.

또 중국 정부는 소비 진작을 위해 국유은행과 협력해 저축률을 낮추기 위해 노력했다. 중국 주요 은행의 1년 만기 예금 금리는 1.45%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강화됐다.

고수익 자산으로의 자금 유입은 위험 선호도를 높이려는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보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개인 소비와 주식 투자 급증으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다만 밍밍 중신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차익거래 종료와 같은 요인이 예금 재분배의 큰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람들이 저축을 소비와 투자로 돌리고 있으며, 이는 정책 당국 입장에서 반가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중신증권 분석에 따르면 4월 금융상품 잔액은 2조9500억 위안 증가했다. 채권 자산이 가장 큰 폭 증가했다. 국채 연동 상장지수펀드(ETF)는 지난달 4억2800만 달러를 끌어모아 작년 12월 이후 가장 큰 자금 유입을 기록했다.

중국은 17일 초장기 특별 국채 1차 발행을 시작했다. 첫날에는 개인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한때 25%까지 상승해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다. 동시에 1년물 국채 수익률은 2020년 중반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예금에서 이탈한 자금 일부가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고배당 주식으로 유입되는 조짐도 있었다. 상하이증권거래소의 배당지수는 올해 16% 상승했으며, 지난달에는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중국 인민은행이 추가 금융 완화를 시행하고, 정부 지원책이 경기 회복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불투명한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도 여전해 성장주보다는 배당주가 선호되고 있다.

인민은행 데이터에 따르면 4월 예금 잔액 감소분 3조9000억 위안 중 1조9000억 위안은 가계에 의한 인출로 나타났다.

베이징청양자산관리 첸이총 상무이사는 “예금에 있던 자금이 자산 관리 상품으로 이동한 것이 최근 가장 큰 시장의 변화”라며 “이들은 주로 국채와 지방정부 자금조달기구(LGFV)가 발행한 채권,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유가증권을 사들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아직 더 위험한 주식을 사지는 않더라도 더 많은 자금이 배당주를 통해 위험자산의 피난처를 찾는 큰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투데이/변효선 기자 (hsbyu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