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근시교정 렌즈, 시각 피로 감소" 논문 공개… 근시억제렌즈 힘 받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fn아이포커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근시 인구의 급격한 증가가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며 최근 근시 억제 관련 제품 출시와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근시 교정렌즈가 시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새로운 연구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fn아이포커스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 고려대학교 뇌공학과 유형석 박사, 경희대학교 미래정보디스플레이학부 주의종 교수, 고려대 인공지능학과 Christian Wallraven 교수가 공동 진행한 것으로, 청소년 근시와 시각 피로를 담당하는 뇌의 신경 네트워크를 탐구한 지속적인 연구결과다.

연구진은 난이도에 따른 시각검색 작업에 대한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장비를 이용해 렌즈를 착용하면서 시각피로가 눈에 띄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행동 반응과 더불어 뇌 영상 데이터로부터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확인했다.

특히 Cuneus, lingual gyrus, middle occipital gyrus(MOG), declive와 같이 작업수행 및 피로 수준 및 난이도와 관련된 시각 및 인지 처리의 조절에 중요한 부분이 연관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청소년 근시 억제와 관련된 기존의 국제연구와 달리, 근시 교정렌즈로부터 시각피로에 대한 새로운 시과학분야를 탐색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시각 피로 완화 뿐만 아니라 시과학 및 뇌과학의 신경학적 기초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근시 교정 렌즈의 잠재적이고 추가적인 연구 중요성을 강조한다.

fn아이포커스

이러한 발견은 근시 위험이 있거나 이미 근시를 겪고 있는 청소년의 시각적 피로와 그 관리를 이해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연구진은 신경학적 관계를 지속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시각 피로를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근시 환자의 생산성과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연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SCI저널 Frontiers in Neuroscience(https://doi.org/10.3389/fnins.2024.1307688)에 게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선민 기자 ratio1234@fneyefocus.com

※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