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고물가 이어지는데…1분기 실질소득, 7년來 최대폭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대희 기자(eday@pressian.com)]
1분기 한국 가구의 실질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고물가가 지속하는데 소득은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4% 증가했다.

3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증가 폭은 전 분기(3.9%)의 절반 이하로 크게 떨어졌다.

가계소득의 대부분(64.3%)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전년 1분기 332만6000원에서 올 1분기 329만1000원으로 1.1% 감소했다. 근로소득이 줄어든 것은 2021년 1분기(-1.3%) 이후 3년 만에 처음이다.

반면 같은 기간 사업소득은 80만4000원에서 87만5000원으로 8.9% 증가했고 이전소득은 77만3000원에서 81만8000원으로 5.8% 늘어났다.

명목소득은 증가했으나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마이너스 성장했다. 올 1분기 실질소득은 전년 동분기 대비 1.6% 감소했다. 2017년 1분기(-2.5%)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특히 소득의 대부분을 이루는 실질근로소득 성장률이 -3.9%에 그쳤다. 2006년(1인 가구 포함) 관련 통계 작성 이래 1분기 기준 가장 큰 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과일값 급등세 반영

올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전년 동분기(282만2000원) 대비 3.0% 증가했다. 하지만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0%였다.

가계가 지출을 줄인 항목은 주류·담배(-0.1%), 교통(-1.0%), 통신(-0.7%), 기타상품·서비스(-0.6%) 등이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비지출 감소는 주류·담배(-1.2%), 의류·신발(-4.1%), 주거·수도·광열(-1.0%), 교통(-2.4%), 통신(-1.0%), 기타상품·서비스(-4.8%)이었다.

세부 품목별로 지출 증감 현황을 보면, 과일 가격 급등 영향이 확인됐다. 1분기 과일및과일가공품 지출은 전년 동분기 대비 18.7% 급등했다. 하지만 실질지출 증가율은 -11.7%에 그쳤다.

올 1분기 비소비지출액은 107만6000원으로 전년 동분기(106만3000원) 대비 1.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1분기 404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분기(399만1000원) 대비 1.4%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전년 동분기(116만9000원) 대비 2.6% 줄어들었다. 3개 분기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가처분소득 대비 흑자액의 비율인 흑자율은 28.1%로 전년 동분기(29.3%) 대비 1.2%포인트 줄어들었다. 7개 분기째 감소 행렬이 이어졌다.

프레시안

커먼즈 라이선스.



1분위 소득 7.6% 증가, 5분위는 2.0% 감소

소득 5분위별 가계수지 내역을 보면, 소득 최하위 20% 가구인 1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분기 115만7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7.6% 증가했다.

반면 소득 최상위 20%인 5분위 가구 소득은 1125만8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2.0% 줄어들었다.

1분위 가구의 소득 점유율은 4.3%에서 4.5%로 소폭 올라갔고 5분위 가구 점유율은 45.5%에서 44.0%로 소폭 하락했다.

1분위 가구의 올 1분기 가계지출액은 151만4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5% 감소했다. 1분위 가구 처분가능소득은 95만5000원이었으며, 이에 따라 1분위 가구 평균소비성향은 137.4%로 나타났다. 전년 동분기 대비 16.3%포인트 하락했다.

가장 가난한 가구는 소득보다 더 큰 지출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소득 5분위 가구의 1분기 가계지출액은 768만9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0.6% 감소했다. 평균소비성향은 58.8%로 전체 분위별 가구 중 가장 낮았다.

1인 가구 소득 300.3만 원

1분위 가구 중 적자가구 비중은 26.8%였다. 2분위 가구의 적자가구 비중이 60.3%로 컸다. 5분위 중 적자가구 비중은 9.4%였다.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내역은 식료품·비주류음료로 전체 소비의 20.5%를 차지했다.

5분위 가구의 경우 교통(15.4%), 음식·숙박(14.8%)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다. 5분위 가구의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 비중은 11.1%로 전체 가구 중 가장 작았다.

가구원수별로 가계수지를 나눠 보면, 1인 가구의 1분기 월평균 소득은 300만3000원이었다. 2인 가구는 448만6000원, 3인 가구는 692만6000원, 4인 이상은 817만9000원이었다.

1인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236만8000원이었다. 2인 가구는 356만9000원, 3인 가구는 553만2000원, 4인 이상은 636만1000원이었다.

프레시안

▲통계청 이진석 가계수지동향과장이 2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대희 기자(eday@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