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속초시민 우롱말라" 옛 동우대 부지 매각에 지역사회 뿔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핵심요약
경동대, 옛 동우대학 토지·건물 매각 추진
속초시의회 23일 기자회견서 강력 규탄
헐값에 매입한 시유지로 수백억 시세차익
"모든 수단 동원해 반드시 막아낼 것"
시민사회단체, 정당 등 "절대 용납 못 해"
노컷뉴스

옛 동우대 건물. 속초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학교법인 경동대학교가 강원 속초시에 있는 옛 동우대학 부지 매각을 추진하면서 지역사회의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속초시의회는 23일 기자회견을 열고 "속초시가 과거 시민들의 염원이었던 대학 유치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시유지 76필지 18만㎡를 1억3050만원에 수의계약으로 매각했는데, 이는 당시에도 헐값이었지만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현재 금액으로도 10억 원이 되지 않는 그야말로 거저 주다시피한 액수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시유지 매각에 시민이 동의한 이유는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 때문"이라며 "하지만 경동대는 학생수 감소에 따른 자구책이란 미명하헤 원주와 양주 캠퍼스로 학과를 이전하기 시작했고, 헐값에 매입한 시유지를 통해 수백억 원의 이익을 추구하는 모습에 시민들이 눈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맹비난했다.

시의회는 특히 "인접 지역에 들어설 동서고속화철도와 동해북부선과의 시너지를 강조하고 역세권 조성의 청사진을 제시하며 매각 물건을 홍보하는 등 그 저의를 의심하게 만들고 있다"며 "시민의 목소리를 묵살하고 부동산 매각을 강행한다면 차후 발생할 모든 일의 책임은 경동대학교가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명길 의장은 "시와 정례회의를 통해 대학 측이 속초시와 아무 협의도 없이 매각을 추진했고 속초시도 언론을 통해 알게된 것으로 파악됐다"며 "혹여 매각이 이뤄지더라도 시와 의회에서는 교육용으로 지정된 부지의 용도 변경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동대는 수의계약으로 헐값에 매입한 시유지를 재단의 수익 확대에 악용하는 행태를 즉각 중단하고 속초시에 환원할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며 "속초시민을 우롱한 것에 대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고, 추후 후속조치를 위해서는 대통령실을 비롯해 중앙정부와 국회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국민 여론을 조성해서라도 반드시 막겠다"고 결의했다.

노컷뉴스

경동대학교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경동대는 지난 8일 학교 홈페이지에 옛 동우대학 토지와 건물을 매각하기 위한 교육부의 처분 허가를 받았다며 입찰 공고를 냈다.

매각 대상 부동산은 학교용지 20만 5977㎡, 노학온천지구 지정부지 9만 6413㎡ 등 65필지에 30만2390㎡ 등으로 예정가격은 781억 8300만여 원이다. 건물은 교사시설 14개 동 4만 8574㎡, 예정가격은 73억 4300만여 원이다. 토지와 건물 전체 매각 예정가는 총 855억 2600만여 원에 이른다. 계획대로 매각이 이뤄지면 수백억 원의 넘는 시세차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학교 측은 교육부 지침에 따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유휴재산을 매각해 발생한 수익을 학교에 재투자하는 등 지방대 여건 개선을 위한 자구책으로 옛 동우대학 토지와 건물 매각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시민사회단체와 정치권 등 지역사회는 "대학 설립 당시 시유지를 헐값에 매입해 조성한 교육용 재산을 수익용 재산으로 바꿔 매각에 나서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하며 "시민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매각을 강행할 경우 생업을 뒤로하고 경동대 3개 캠퍼스와 교육부 등을 상대로 강력한 반대 집회를 전개하는 등 반발 수위를 높일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