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추미애 의장 낙선 후폭풍…잠재우려면 '당원 권리'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명 "당원 중심 대중 정당으로 확실히 변모 시켜야"

중진들은 우려…"상시 의견 수렴 네트워크 만들어야"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경민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23일 추미애 하남갑 당선인의 국회의장 낙마 후폭풍이 거세지자 당원권 강화를 꺼내들었다. 국회의원 고유 권한인 원내대표·국회의장단 선출에 있어서 당원 표심을 반영하거나 당원국 신설도 검토 중이다.

민주당은 22대 당선인 워크숍에서 당원 민주주의 강화에 상당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당내 친명(친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원내 선거에서 당원에게 투표권을 주는 방식을 띄웠다.

김민석 민주당 의원은 20일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원내대표·국회의장 선거를 두고 "의원들의 100% 고유 영역으로 있던 부분을 최소 10% 정도는 당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게 어떠냐"고 처음으로 제안했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21일 MBC 라디오를 통해 "(김 의원의 의견에) 상당히 공감한다"며 "국회의장단과 원내대표 선출에 당원 참여가 20% 정도는 반영돼야 된다"고 거들었다.

양문석 경기 안산갑 당선인은 당원 난상토론에서 "일반 시민 50%, 권리당원 50% 참여로 뽑힌 국회의원 후보가 총선을 통과했다"며 "원내대표를 뽑을 때도, 우리 당의 국회의장 후보를 뽑을 때도 똑같이 국회의원 50%, 당원 50% 비율을 적용하면 되지 않나"라고 주장했다.

이번 당원권 강화 논의는 예상 밖의 민주당 국회의장 경선 결과로 촉발됐다. 국회의장 선거에서 강성 당원들은 추 당선인을 지지했으나, 우원식 의원이 당선됐기 때문이다.

21대 국회에서 여야 극한 대치에도 여야 협의 원칙으로 세운 국회의장으로 민주당 중점 과제 일정이 번번이 차질을 빚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채상병 특검법 통과 과정에서 적극적인 권한을 행사하지 않아 당내 비토 여론이 상당했다. 이에 당원들은 새로운 국회의장으로 '강경파' 추 당선인이 적합하다고 봤다.

추 당선인 낙선으로 인한 탈당 행렬에 지지율도 실제 하락하자 당 지도부까지 직접 나섰다. 이재명 대표는 당원국 신설을 언급하며 의지를 드러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자신의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통해 "이번 일을 계기로 당원 중심 대중 정당으로 확실히 변모 시키자. 반론은 크지 않을 것 같다"며 "당의 의사 결정은 당연히 당의 주인인 당원의 의사가 관철 또는 존중, 최소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중진 일부는 우려하고 있다. 전체 국민을 대변하는 정당 민주주의를 뒤흔들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민주당 출신인 김진표 국회의장은 전날 퇴임 기자간담회에서 "팬덤이 국회의원 당선에 기여한 비율은 0.1% 미만"이라며 "국회의원 득표 중에 90~95% 정도는 당원도, 팬덤도 아닌 일반 국민의 지지를 받아서 당선된 것이다. 누구의 대표인지 (생각하고)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총선에 불출마한 우상호 민주당 의원 역시 이날 MBC 라디오를 통해 "당대표, 최고위원, 시·도당위원장 같은 당직은 당원들이 뽑는 게 맞다. 선출직 공직자를 뽑을 땐 민심을 반영한다"며 "원내직은 국회의원이 (뽑는 게) 오랫동안 정착해온 일종의 선출 과정의 룰"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어떤 선거에 (당원 표심을) 몇 퍼센트를 더 반영한다는 식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상시적으로 당원들의 의견이 수렴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km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