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충남도, 바이오산업 분야 국비 515억 원 확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부 및 농식품부 공모사업 5건 선정…총사업비 1110억 원 규모

더팩트

충남 바이오 산업 육성 계획도. /충남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내포=이정석 기자] 충남도가 올해에만 바이오 분야에서 총 5건의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국비 515억 원을 확보, 사업 추진 과정 및 완료 시 총 3660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도는 이번 공모선정에 따라 최대 2028년까지 지방비를 포함해 총 1110억 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및 지역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신산업 발굴 등 지역균형발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23일 도에 따르면 5개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조혁신공정 지원 △바이오 생체활성제품 글로벌 사업화 지원 △비건섬유 소재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골대체 융합의료기기 유효성 검증 체계 구축과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반려동물 원-웰페어 밸리 조성이다.

먼저, 산업통상자원부의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조혁신공정 지원’ 사업은 2028년까지 국비 100억 원을 포함해 총 260억 원(국비 100억 원, 도비 49억 원, 시비 111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아산 연구개발(R&D) 집적지구 바이오헬스산업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는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소재·공정개발 및 상용화 전과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국내 유일의 위탁생산개발(CDMO) 체계를 완성할 계획으로, 부가가치창출효과는 416억 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나머지 4건은 지역 맞춤형 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신산업 발굴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남부권 발전을 이끌 예정이다.

부여군에 추진하는 산업부 주관 비건섬유 소재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은 2027년까지 국비 50억 원을 포함해 총사업비 130억 원(국비 50억 원, 도비 24억 원, 군비 56억 원)이 투입된다.

도는 전국 최대 규모의 버섯 산지인 부여군의 특성을 살려 버섯 폐배지 등을 활용한 가죽 소재 개발 및 실증으로 친환경 바이오소재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공모 선정과 맞물려 대구에 본원이 소재한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분원도 부여군에 설치할 예정으로, 남부권 바이오산업 육성 기반 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886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32억 원, 취업·고용창출효과 771명 등이다.

이밖에 △‘바이오 생체활성제품 글로벌 사업화 지원 사업’은 예산군에 2028년까지 국비 150억 원 포함, 총사업비 298억 원(국비 150억 원, 도비 41억 4000만 원, 군비 106억 6000만 원) 투입 △‘골대체 융합의료기기 실증지원 체계 구축사업’은 홍성군에 2028년까지 국비 15억 원 등 총사업비 21억 5000만 원(국비 15억 원, 도비 1억 5000만 원, 홍성군비 2억 5000만 원) 투입 △‘반려동물 원-웰페어 밸리 조성’ 사업은 홍성군에 2027년까지 국비 200억 원을 포함해 총사업비 400억 원(국비 200억 원, 도비 60억 원, 군비 140억 원) 투입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2022년말 수립한 ‘충남 바이오산업 육성 종합계획(2023-2027)’에 따라 △바이오헬스(천안·아산) △그린바이오(홍성·예산) △메디바이오(공주·보령·당진·청양) △해양바이오(서천·태안) △화이트바이오(서산·부여·금산) △국방바이오(논산·계롱) 클러스터를 구축할 것"이라며 "바이오산업의 국내 선도모델 구축 및 지역 균형발전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tfcc202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