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다보스포럼 창립자, 회장직 연내 사임…이사회 중심 개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창립자 겸 회장.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정·재계 리더와 학계 인사들이 모여 글로벌 현안을 논의하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의 창립자이자 포럼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클라우스 슈밥(86) 회장이 연내 사임한다.

22일(현지시간) 다보스포럼에 따르면 슈밥 회장은 포럼 집행위원장직을 올해 내려놓는다.

이에 따라 다보스포럼은 창립자 주도 방식에서 이사회가 경영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조직을 개편할 예정이다.

다보스포럼은 이사회 산하에 4개 전략위원회를 두고 포럼 운영에 관한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독일 태생인 슈밥 회장은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를 나와 프리부르대에서 박사학위를 딴 경제학자다.

슈밥 회장이 미국 하버드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던 1971년 유럽 기업인 400여명을 초청해 ‘유럽경영자포럼’이라는 모임을 처음 연 것이 다보스포럼의 모태다. 이후 포럼 참석 대상을 전 세계로 넓혔고 1974년부터는 정치인이 참여하기 시작했다. 1987년에는 현재의 명칭인 ‘세계경제포럼’으로 개칭하고 연례행사로 자리 잡았다.

2002년 미국 뉴욕에서 딱 한 차례 열린 것을 제외하면 모두 스위스의 휴양지인 다보스에서 매년 1월 개최돼왔다. 이 행사가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이유다.

슈밥 회장은 지구촌 의사결정권자들을 다보스에 불러 모으며 ‘세계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길’ 꿈꿨다고 한다.

슈밥 회장은 사임 후에도 포럼 이사회에는 남을 것으로 전해졌다. ‘회장’으로 불리는 집행위원장직은 현재 2인자로 꼽히는 뵈르게 브랜다 다보스포럼 총재가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브랜다 총재는 노르웨이 외무장관 출신이다.

비영리 재단으로 운영돼온 다보스포럼은 수장과 조직 체계가 바뀌더라도 전 세계가 당면한 공통 현안을 토론하는 글로벌 민관 회의체로서 제 기능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2년 4월 27일 당시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집무실에서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을 접견하며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