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대왕조개, 中어부 탓에 씨말라” 필리핀, 남중국해 환경 조사 촉구 [포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스카버러 암초 - 2019년 4월 22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에서 중국 어부들이 대왕조개를 찾으면서 해저를 샅샅이 뒤지고 있다.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필리핀은 20일(현지시간) 중국과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에서 멸종위기 생물인 대왕조개가 중국 어부들에게 대량 포획당해 씨가 말랐다고 비난하며 국제적인 환경 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AP 통신에 따르면, 필리핀 해경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국 어부들이 수년간 스카버러 암초에서 대왕조개를 대량 어획해온 모습을 담은 감시 사진을 대거 공개했다. 암초 주변 산호의 일부는 심각하게 훼손된 것으로도 보인다.

필리핀 해경 대변인인 제이 타리엘라 준장은 “이것이 우리가 바호 데 마시녹(스카버러 암초의 필리핀명)에서 본 마지막 남은 대왕조개였다”고 설명했다.
서울신문

스카버러 암초 - 2016년 6월 12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에서 중국 어부들이 포획한 대왕조개를 운반하고 있다.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스카버러 암초 - 2018년 12월 24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에서 중국 어부들이 대왕조개를 수확하고 있다.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스카버러 암초 - 2019년 2월 27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의 얕은 곳에서 중국 어부들이 포획한 대왕조개들이 보관돼 있다.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필리핀 해경에 따르면 중국 어부들은 그후로도 스카버러 암초에서 더 많은 대왕조개를 찾아나섰지만 씨가 말랐는지 헛수고였다. 대왕조개에 대한 불법 포획 활동 징후가 2019년 3월부터 중단됐기 때문이다.
서울신문

스카버러 암초 - 2019년 2월 27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에서 중국 어민들이 채취한 톱조개가 담긴 플라스틱 용기들이 해저에 임시 보관돼 있다.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스카버러 암초 - 2019년 3월 2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 북부에서 중국 어부들의 그물에 걸려 죽은 바다거북이 끌려올라오고 있다.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필리핀 당국은 스카버러 암초에 대한 국제적인 환경 조사를 촉구했다. 조너선 말라야 필리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우리는 그곳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우려하고 있다”며 중국은 유엔과 환경단체 전문가들의 독립적인 환경 조사를 허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남중국해의 많은 해역에 대해 거듭 영유권을 주장해 왔다. 영유권 분쟁에는 중국과 필리핀 뿐 아니라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대만 등이 있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남중국해 변두리 해역인 나투나에서 중국 해경 및 어선들과 무력충돌을 벌이기도 했다.

필리핀은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고자 분쟁 해역에서 점점 더 강경해지는 중국의 행동을 널리 알리는 정책을 채택해왔다. 이번 기자회견도 스카버러 암초에 대한 중국의 관리권을 비난하기 위한 가장 최근 노력이다.

한편, 스카버러 암초는 2012년부터 중국이 점유한 상태다. 지난달 30일에는 이 일대에서 중국 해경선들이 필리핀 해경선 등에 물대포 공격을 가하기도 했다.

윤태희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