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국세청, ‘AI 국세행정’ 원년 선포…공공부문 첫 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년간 300억원 투입…내년 'AI 홈택스' 개통

AI 서비스로 국세상담전화 성공률 24→98%

헤럴드경제

김국현 국세청 정보화관리관이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인공지능(AI) 홈텍스 개통 등 2년간 홈텍스 고도화 사업 추진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국세청(청장 김창기)이 공공부문에서 처음으로 인공지능(AI) 시스템을 도입한다.

국세청은 올해를 'AI 국세행정'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AI를 이용한 국세행정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상담 서비스에 AI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공공부문에서는 처음이다.

국세청은 올해부터 홈택스 고도화 사업을 추진 중이며 내년 초 AI 홈택스를 개통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고서 초안을 미리 채워주는 모바일 원터치 간편신고 서비스를 확대하고 납세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주는 AI 검색도 도입한다. AI 홈택스 서비스로 국세 상담 대상 세목이 확대되고 상담 수준도 더 높아질 것으로 국세청은 전망했다.

국세청은 김창기 국세청장 취임 이후 '사용자 중심 홈택스 개편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연말정산 일괄제공, 배달라이더 환급금 안내 등 서비스를 개선해왔다.

국세청은 올해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인 5월부터 정부기관 최초로 AI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국세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세청의 AI 상담은 200만건이 넘는 과거 상담자료와 방대한 세법·예규·판례 등을 토대로 이뤄진다. 1250명을 동시에 상담할 수 있고 야간·휴일에도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상담원 1000명을 늘리려면 최소 8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4억원의 비용이 드는 AI 기술을 도입해 예산을 절감했다는 것이 국세청의 설명이다.

AI 도입으로 이달 1∼17일 상담 건수(84만건)는 지난 해 같은 기간(31만건)보다 2.7배 증가했다. 국세상담전화 통화 성공률도 같은 기간 24%에서 94%로 상승했다.

AI 상담 대상은 대부분이 신고·수정 방법 등을 묻는 단순 문의라는 것이 국세청의 설명이다. AI 상담이 도입되면서 상담 직원은 더 복잡한 상담에 집중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상담 품질이 향상됐다고 국세청은 평가했다.

국세청은 이날 브리핑을 열고 AI 상담사를 공개 시연했다. 현장에서 AI 상담사는 "라식 수술비가 의료 공제 대상인가요?"라는 문의에 "라식 수술이 시력 보정용 수술이라면 의료비 공제에 해당한다"고 답했다. 자세한 내용을 문자 메시지로 받을지를 묻거나 상담 직원 연결을 안내하기도 했다.

현재 국세청의 AI 상담 시스템은 비용·보안 등 문제로 생성형 AI가 아닌 대화형(시나리오형) AI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과거 상담 사례 녹취를 실제 질문과 매칭하는 방식으로 AI 시스템을 학습시켜 답변의 정확성을 높이고 질을 개선하고 있다고 국세청은 설명했다.

국세청 관계자는 "AI 국세 상담은 정부는 예산을 절약하고 민간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 민관협력 사례"라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