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국회 찾은 네이버 노조, "부당한 압박 때문에 라인 빼앗기는 선례 안 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노동자들이 21일 라인야후 지분매각 사태와 관련, 라인을 '거북선'에 비유하면서 "글로벌 서비스를 외국 정부의 부당한 압박 때문에 빼앗기는 선례를 남기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개최한 '네이버 라인야후 지분매각 사태관련 노동조합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엔 박주민 을지로위원회 위원장,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자, 오세윤 네이버 노동조합 지회장 등이 참석했다.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자는 "참담하다. 일본 정부의 라인 강탈 시도가 이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 용납하기 어렵다"며 "일본 정부의 마쓰모토 총무상은 라인 지분 지배 관계의 재검토를 요구하고 행정지도를 통해서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을 공식화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이것에 대해서 대응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다. 이 문제는 단순히 기업 경영권 문제뿐만 아니라 2500명이 넘는 라인의 노동자 고용 문제로 걸려있고, 기술력도 매우 중요한 측면인데, 정부가 나서서 이 문제를 지켜내기 위한 전면적 노력을 앞장 서서하지 않고 있는 점이 매우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오세윤 네이버 노조 지회장은 라인야후 지분매각 사태를 설명하면서, 문제의 시작은 일본 정부의 부당한 압박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라인은 일본의 서비스가 아니라 15억명의 이용자가 있는 글로벌 서비스"라며 "단순한 메신저가 아니라 플랫폼 서비스이며 국내 기술의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실제 라인에서 일하는 구성원들의 목소리도 소개했는데, '전직원이 죽을 힘을 다해 키운 라인이다' '이렇게 뺏길려고 야근하면서 일한 거 아니다' 등의 목소리가 나왔다고 전했다.

오 지회장은 일본의 라인 옥죄기는 계속될 것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국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그는 "지난 화요일에 대통령실 입장문이 나오면서 사태가 일단락 된 것 아니냐는 기사가 쏟아졌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대통령실 입장은 기존에 정부가 해왔던 대로 기업에 책임을 전가하고 일본 정부의 잘못이 없다는 동어반복"이라고 평했다.

이어 "글로벌 서비스가 일본에 넘어가게 되면 거북선 기술자가 일본에 넘어가고 기술이 탈취되고 일자리를 잃는 것처럼, 이후 압박은 사라지지 않지만 사람들의 관심이 떨어질 때 글로벌 서비스가 유출되는 안 좋은 결과를 맞게 될 것 같아서 그 점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오 지회장은 "보안 사고 해결에 있어서 이해할 수 없는 지분 매각 요구는 우방이 아니라 적성국을 대하는 태도라 문제"라며 "우리 정부가 분명하게 입장을 밝혀야 했는데, 소극적 대처를 해서 외교문제로 불거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 락앤락은 홍콩 사모펀드에 넘어간 다음에 권고사직, 정리해보, 희망퇴직이 이어졌고 이번엔 자산을 매각하기 위해서 상장폐지까지 시도하고 있다"며 "훌륭한 기술 기업이 외국에 넘어갔을 때 노동자가 고용을 잃는 방식으로 기술을 잃는 가까운 사례가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나면 안 된다"고 부연했다.

오 지회장은 정치권에 ▲네이버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행사 ▲라인야후 지분 매각 사태에서 부당한 처사 없었는지 확인 ▲글로벌 서비스 환경 조성 등을 부탁했다.

그는 "일본이 미국과 유럽연합과는 데이터 이동 협정을 맺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맺고 있지 않다. 이를 포함해서 기업이 외국 사업을 함에 있어서 장벽이 되는 것들을 해결해주십사 부탁드린다"고 했다.

민주당은 공개 발언 후 비공개로 회의를 전환했다. 박주민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은 회의 후 "노조 측에서 국회의원들이 네이버 경영진을 한번 만나달라고 해서 자리를 만들어볼 예정"이라고 했다.

다른 민주당 을지로위 관계자는 "이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하면 어떤 국내 기업이 일본에 투자하거나 영업을 하려고 하겠나"라며 "네이버 경영진을 만나는 등 지속적으로 관심갖고 해 나가겠다"고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