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與 원외, ‘첫목회·협의체’ 커지는 목소리…차기 지도부 영향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외 첫목회·협의체 민심반영 지적…총선백서 진단 요구

다음 달 1일 이후 협의체 발족…최고위원 합류 안갯속

쿠키뉴스

22대 총선 참패 후 국민의힘이 지난달 14일 원외조직위원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임현범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원외 조직들의 쇄신 목소리가 커지면서 차기 지도부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수도권 낙선자 모임인 3040 ‘첫목회’는 반성의 목소리를 냈고 원외조직위원장들은 ‘협의체’ 발족을 준비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원외조직위원장은 21일 “원외조직위원장들이 총선 패배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고 있다. 당정관계와 당의 중심 잡기 등이 논의됐다”며 “영남권과 수도권 간 민심 괴리감이 상당히 큰 상태”라고 말했다.

원외조직위원장은 지역 당협이 뿌리조직을 잃어버렸다고 진단했다. 그는 “과거 탄핵정국 이후 선거를 뒷받침할 뿌리조직이 다 무너졌다”며 “이번 선거는 해당 조직이 다 회복되기 전에 치러지게 됐다. 민심을 받아들여 뿌리 조직을 회복하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뿐만 아니라 총선백서의 진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용찬 국민의힘 영등포을 원외조직위원장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총선백서는 선거 참패에 대한 기록이기 때문에 엄중하고 공정하게 기록돼야 한다”며 “안타깝게도 국민의힘 총선백서는 햇볕을 보기도 전에 권위와 신뢰를 상실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총선백서특위의 수장이 총선백서의 방향과 구체적 내용을 실시간으로 언급해 권위를 상실했다. 당권 도전을 시사해 총선백서의 중립성과 신뢰성은 회복하기 어려워졌다”며 “국민의힘 내부구성원들이 주축이 돼 할말을 가감 없이 하기 어렵다는 구조적 한계까지 가졌다”고 꼬집었다.

박 위원장은 “총선백서를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외부기관에 맡겨보는 방안을 제안하고 싶다”며 “당 내부에서 보지 못하는 것과 말하지 못하는 것을 국민적 시선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첫목회도 총선 패배를 두고 사과의 말을 꺼냈다. 첫목회는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연구원에서 ‘끝장밤샘 토론’을 마친 후 “이번 총선에서 민심의 매서움을 목도했다. 국민은 선거운동기간뿐 아니라 윤석열 정부의 지난 2년을 평가했다”며 “공정과 상식이 무너지고 있지만 정부는 이에 부응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6종류의 사건을 총선 패배의 원인으로 진단했다. 첫목회는 △강서 보궐선거의 아집 정치 △연판장 사태로 인한 분열 정치 △이태원 참사 공감 부재 정치 △입틀막 불통 정치 △이종섭 임명으로 인한 회피 정치 등의 사건을 꼽았다.

쿠키뉴스

서울 여의도 소재 국민의힘 중앙당사. 쿠키뉴스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첫목회·협의체 차기 지도부 영향은


첫목회가 ‘민심반영’ 목소리를 내는 가운데 협의체까지 발족할 경우 전당대회 규칙을 둘러싸고 국민의힘 고심은 깊어질 전망이다.

협의체는 다음 달 1일 당협위원장 임명절차가 끝난 후 만들어질 예정이다. 협의체는 원외당협위원장의 현장 목소리를 모아 당 지도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국민의힘 원외조직위원장들은 협의체 발족 전부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원외조직위원장 50여명은 지난 18일 열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원외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전당대회에 민심을 반영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첫목회와 협의체는 국민과 당원 5대5 비율을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당에 민심을 반영해 22대 총선 패배의 위기를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당내에서는 원외조직위원장 협의체가 전당대회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당에서 원외조직들의 민심반영 요구를 외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차기 지도부에 지명직 최고위원 가능성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서울 원외조직위원장은 전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총선 패배로 인한 전당대회 준비를 위한 비대위가 들어온 상황에서 원외조직위원장들의 쇄신요구를 거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전당대회 비율에 민심을 적용하는 안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협의체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어떤 성격을 가질지 역할을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차기 지도부 지명직 최고위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는 만큼 당을 위해 하나가 돼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원외조직위원장도 “수도권의 민심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해달라는 메시지와 당협위원장이 법적으로 매우 불안정해 선거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뜻을 전했다”며 “차기 최고위원 출마는 요구가 있었지만 지도부의 의중은 아직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다음 달 1일 당협위원장 임명절차가 끝나면 (협의체 발족을) 이제 할 것”이라며 “당협위원장 협의체기 때문에 법적 절차에 맞춰야 만들 수 있다”고 전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쿠키뉴스

쿠키뉴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