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김진표, 황우여 예방에 "대통령에게 'NO'라고 할 수 있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진표 "정부·여당 전체가 대통령 직속 되면 안 된다"

황우여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 개헌 숙제로 남아"

아주경제

김진표 국회의장이 20일 오전 국회에서 예방한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왼쪽)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20일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해 "정부가 안 끌려오는 이유가 만일 대통령이라면, 대통령에게도 필요하면 '노'(NO)라고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자신을 예방해 황 위원장에게 "지난 선거 결과는 결국 아무도 대통령에게는 '노'라고 하지 않은 탓이다“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여당 전체가 대통령의 직속 부하가 되면 정치가 이뤄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황 위원장은 김 의장과 지난 2011년 여야 원내대표로 마주했던 인연이 있다. 횡 위원장은 김 의장에 대해 "(당시) 김 원내대표가 주도해 만든 것이 국회선진화법이었다. 그 공로를 잊지 못한다. 언젠가는 의장이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치켜세웠다.

황 위원장은 그러면서 "정치개혁, 개헌 의지가 강했는데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 여러 개헌의 뜻을 못 이룬 것은 우리 당에도 숙제로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황 위원장은 약 5분간의 비공개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그때 우리 김 대표 소속당이 (의석) 숫자가 얼마 안 됐었다"며 "우리는 190석을 넘었는데도 우리가 한 번도 강행 처리를 안 하고, 김 대표가 '됐다'고 할 때 해드렸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정연우 기자 ynu@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