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오르고 또 오른다는 아파트 전세 이곳만 떨어졌다…강동구에 무슨일이? [부동산3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월 서울 아파트 전세 절반이 ‘상승거래’…48%가 상승

강동구는 하락 거래 비중 52%

“매물 부족, 갱신권 만기 다가와 상승 계속”

헤럴드경제

서울 강북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임세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거래 중 절반 가까이는 1년 내 직전거래 가격 대비 상승한 거래로 나타났다. 다만 강동구에서는 하락 거래가 절반을 넘어서 눈길을 끌고 있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공개된 아파트 전세거래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세계약 중 48%가 1년 내 직전거래가격과 비교해 가격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전셋값이 약세를 보였던 지난해 4월 전세상승거래 비율이 44%였던것과 비교하면 상승거래 비율은 증가했고, 하락거래도 41%로 1년 전(46%)과 비교해 감소했다

서울 자치구별 전세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중구 전세거래 중 63%가 상승거래로 집계됐다. 정주여건이 양호해 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전세 신규계약이 다수 진행되며 4월 전셋값이 오른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은평구 전세거래 중 61%가 상승거래로 나타났다. 입주 5년 이내의 새 아파트 전세수요가 상승거래 비중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그밖에 종로구(56%), 용산구(54%), 금천구(52%), 동대문구(52%), 강북구(51%), 성북구(51%), 강서구(51%), 성동구(51%), 서초구(51%), 마포구(50%)의 절반 이상 거래가 1년 내 직전거래가보다 전셋값이 올라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 접근성이 양호하고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한 단지에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신생아특례대출 등 정책 자금도 전세 수요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강동구는 전세거래 중 52%가 1년 내 직전 거래가격과 비교해 전셋값이 낮은 가격에 4월 계약된 것으로 나타났다. 새 아파트와 기존의 신축들이 연달아 4년차에 도달하며 물량이 많아져 전세수요가 분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의 11월 입주 영향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세 수급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인 전세수급지수(수요자와 공급자 비중 지수화)도 2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100을 넘어서면서 ‘매물부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전세수급 동향에 따르면 5월 첫째 주(6일 기준) 서울 전세수급지수가 전주(99.3)보다 0.8포인트 오른 100.1을 기록했다. 서울 전세수급지수는 전세난이 최고조에 달했던 2020년 11월 133.3으로 고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하락해 2022년 12월 60.4까지 낮아졌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 다시 기준선인 100을 회복한 것이다.

전세수급지수는 100보다 낮으면 전세를 내놓는 사람이 많고, 100보다 높으면 전세를 구하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저금리 정책대출 등의 영향으로 올해 들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증가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시장전망에 대한 불투명으로 주택 매수보다는 임대차에 머무는 수요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 리드는 “한동안 전세매물 부족 영향 등에 따라 서울 전세가격 상승은 계속될 전망”이라며 “2020년 시작된 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2+2년)의 만기 시점이 8월에 다가오면서 계약갱신 만료 매물이 시장에 나올수도 있지만 그동안의 가격이 반영되며 전셋값은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hwshi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