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노트북 너머] 확실한 경기회복 관건은 물가 안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올해 우리 경제가 기지개를 펼 가능성이 커졌다. 주요 국내외 경제기관들이 올해 한국 경제가 2.5% 이상 성장할 것이란 전망을 잇따라 내놓고 있어서다.

지난해 글로벌 경기 둔화와 반도체 등의 수출 부진으로 1.4%의 저성장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올해 2% 중반 이상 성장은 의미가 크다. 더욱이 해당 성장률은 주요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우리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것은 반도체를 필두로 한 수출이다. 올해 수출은 전년대비 크게 회복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올해 1분기 1.3%(전분기 대비)의 '깜짝 성장'도 수출에서 비롯됐다. 올해 1~3월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8.3% 늘어난 1637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러한 수출 증가에 힘입어 1분기 성장률의 순수출(수출-수입)기여도는 0.6%포인트(p)를 기록했다. 순수출이 1분기 성장률을 0.6% 끌어 올렸다는 얘기다.

이는 민간소비 기여도(0.4%p)보다 높은 수치로, 수출이 사실상 1분기 성장을 이끈 것이다. 이를 고려해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초반에서 2.6%로 대폭 상향했다.

그러나 수출 주도의 경기 회복 전망에도 불구 민생경제는 여전히 냉랭하다. 이는 자영업자 폐업 속출에서 잘 드러난다. 핀테크 기업 핀다의 상권 분석 플랫폼(오픈업)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외식업체는 17만6258개로 전체 외식업체의 21.52%에 달했다. 코로나 때인 2020년(13.41%)보다 8.11% 높다.

월 몇천원 수준의 이자를 제때 내지 못해 연체하는 상황도 늘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소액 생계비 대출(최대 100만 원) 연체율은 지난해 말 11.7%에서 올해 3월 말 15.5%까지 치솟았다.

결과적으로 작년 하반기부터 되살아난 수출 회복의 온기가 내수 진작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기저에는 고물가가 자리 잡고 있다. 농산물 등 먹거리와 외식 물가 부담이 여전히 커 가계의 씀씀이가 줄어들고, 이는 내수 경기 위축이란 결과를 낳고 있다.

우리 경제의 높은 성장세가 국민들에게 분명하게 전해지기 위해서는 물가 안정화가 급선무다. 물가가 낮은 수준으로 안정돼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차단을 위한 고금리 기조가 꺾일 수 있다.

그러면 시장의 자금조달 여건이 개선돼 소비·투자가 되살아나고, 고용 증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경제 구조가 조성될 수 있다. 여기에 고공행진 중인 수출 성장세까지 더해지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이투데이/세종=서병곤 기자 (sbg1219@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