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김이석 칼럼] 美 대선 3국면 '트럼프' 각각 다르게 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논설심의실장


지난 14일 '아시아의 미래: 번영과 안보'를 주제로 아산정책연구원이 주최한 '아산플래넘 2024'에 참석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헤리티지 재단 소속 앤서니 김 연구원을 만났다. 그도 필자를 알아보고 반겨주었다. 마침 둘만의 인터뷰여서 한국말로 제법 깊숙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행운을 얻었다. 그 가운데 그가 한국 정부와 언론인들에게 조언했던 것 가운데 인상 깊었던 몇 가지를 소개할까 한다.

우선 헤리티지 재단을 간략하게 소개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도 이런 곳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 때문이다. 헤리티지 재단은 지난해 50주년 된 '작은 정부, 강력한 국방, 자유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독립적 정책연구소다. 이런 지향점은 사실상 윤석열 정부와 같다고 볼 수 있다.

헤리티지 재단은 주로 시간이 많지 않은 상하원 의원들을 상대로 핵심 사안에 대해 어떻게 정책을 추진할 것인지 짧은 보고서를 내서 법안들이 제대로 토론되도록 이끌어서 정책의 기초를 만들고 이를 날카롭게 다듬는다. 앤서니 김에 따르면, 헤리티지 재단은 공화당의 공식적인 정책연구소가 아니지만 레이건 대통령이 헤리티지 재단이 제안한 '규제완화' 등 많은 정책을 수용하게 되면서 헤리티지 재단의 활동이 궤도에 올랐다고 한다. 그런 까닭인지 윤석열 정부도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 때의 정책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이 제기되기도 했다.

필자는 인터뷰를 시작하자마자 다음 대선의 유력한 대통령 후보 트럼프가 언급한 "부자나라 대한민국" "주한 미군 철수론"과 같은 민감한 주제에 대해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봤다. 누가 얼마를 부담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언제나 중요하지만 너무 군사동맹을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면 대한민국 국민들이 미국에 대한 거부감이 커질 것이라는 복선을 깐 질문이었다.

이에 앤서니 김은 트럼프의 말에 너무 과민하게 대응하지 말고 트럼프를 3국면의 트럼프로 나눠서 각 국면에 맞게 '대응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금 선거 캠페인에서 보는 트럼프, 공화당 전당대회 후 공화당 대통령 후보 트럼프, 그리고 만약 당선된다면 참모진을 둔 대통령 트럼프가 다 다를 것이라는 이야기다.

특히 대통령이 되는 과정에서는 국내문제에 대해 미국 시민들에게 메시지를 보내야 하지만, 일단 대통령이 되고 나면 외교 사안에 치중하지 않을 수 없는 국제적 상황이 펼쳐져 있다.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정보도 부족한 현재로서는 미국 대선 과정을 지켜보는 게 필요하며, 현재 유고 시 대통령 역할을 할 부통령 러닝메이트도 관심사인데 7월 전당대회를 통해 부통령 후보를 지명하면 점점 구체적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봤다.

바이든이 재선된다면 미국의 외교 정책도 지금과 그렇게 달라질 소지가 많지 않지만, 트럼프가 차기 대통령이 된다면 그럴 가능성은 커진다. 그런데 현재 2020년 선거에서 바이든이 다 이겼던 6개 '스윙 스테이트'에서 트럼프가 우세하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으로서도 트럼프의 재선 시나리오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미국 대선은 기본적으로 국내정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지금 트럼프의 발언은 미국 유권자들을 향해 "내가 너의 대통령이 됐을 때 이렇게 하겠다"고 호소하는 '세일즈 포인트'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대통령 후보로서 재정적자와 인플레와 같은 경제 문제와 현재 불법이민 등으로 얼룩진 국경 위기와 같은 미국 내부의 문제들에 대해 분명한 리더십을 보여주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앤서니 김과 인터뷰를 마치면서 필자의 머릿속을 계속 맴돌았던 것은 "트럼프를 3국면으로 나눠서 보라"는 그의 말이었다. 그의 말은 경선과정에 비추어 그의 발언을 이해할 필요성을 그때까지는 잘 깨닫지 못했던 필자에게는 무엇보다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 (계속)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